김희석
- 개발상황
- 월요일까지 각자 맡은 페이지를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 월요일 이후 디자인 및 리펙터링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 협업방식
- 이슈를 생성하여 팀원 모두가 어떤 작업을 하고있는지 공유하고 있습니다.
- PR리뷰시 화면을 공유해 코드 작성자가 코드에 대한 설명을 하여 서로의 코드의 이해도를 높이는 작업을 했습니다.
- 팀 리뷰
- 본인이 맡은 이슈를 책임감 있게 완수를하셔서 좋습니다.
- 작업을 하면서 어려운게 있으면 숨기지 않고 바로 말해서 문제를 바로 해결할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개인 리뷰
- 리엑트와 타입스크립트가 익숙하지 않았지만 프로젝트를 통해 조금 더 친숙해지고 있어 좋았습니다.
- 깃에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멘토님의 상세한 리뷰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찬욱
- 개발상황
- 현재 각자 구현한 페이지를 dev로 merge하고 미흡한 부분을 채우고 있습니다.
- 협업 방식
이슈 생성 → 브랜치 생성 → 코드 작성 → commit, push → PR → dev로 merge
순으로 개발을 진행하며 각자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칸반보드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팀 리뷰
- 각자 맡은 바를 완수하기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보기 좋습니다.
- 회의했던 내용을 문서화하는 부분이 미흡한 거 같습니다.
- 개인 리뷰
- 지금까지 해본 프로젝트는 git과 github를 제대로 활용해본적 없었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컨벤션을 정하고 칸반보드를 활용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팀원분들이 작성한 코드에 좀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거 같습니다.
- 컨벤션을 지키면서 협업을 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고 신경을 많이 써야함을 느꼈습니다.
- ‘본인이 팀에 어느정도까지 관여해야 팀원 개개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 하는 고민을 많이 하게 됐습니다.
이찬
- 개발상황
- 현재 각각 만든 상세페이지들을 연동하는 작업 & 상세페이지를 리팩터링 하고 있다.
- 협업방식
- 활발한 소통을 기반으로 막히는 부분을 서로 도와주면서 협업을 하고있다.
- 팀 리뷰
- 각자 맡은 역할을 책임감있게 완수해서 좋다
- 의견을 밀어붙이지 않고 회의를 통해 결정한다.
- 회의를 통해 개발 내용을 정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속도가 느린가 싶었지만, 수정해야할 부분이 적어져서 그렇지 않았다.
- 개인 리뷰
- 팀원들에게 모르는 부분을 적극적으로 물어봐서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에 대한 이해가 늘어난 것 같다.
- 깃허브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깃, 깃허브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것 같다.
- 하지만 충돌이 생기거나 하는 부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게 맞나…? 하면서 자신있지 못하게 깃을 활용하고있다.
- 좀 더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한 것 같다.
이종현
- 개발상황
- 현재 각자 만들 페이지를 정한 뒤 기능 구현, 라우터 연동, 리팩토링을 진행 중 이다.
- 협업방식
- 사람마다 생각하는 것이 다를 것 이기때문에 사소한 부분에 대해서도 다른 팀원분 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물어본다.
- 잘 안되고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팀원들에게 물어보고 서로 해결해주려고 노력하고있다.
- 팀 리뷰
- 개발을 진행 하기 전 부터 팀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상세히 정하고 단계를 밟아가며 개발을 진행하고 있어서 그런지 순조롭게, 큰 이슈 없이 개발을 이어 나가고 있는 것 같다.
- 잘 모르고 잘 안되는 부분들이 많은데 팀원분들께 여쭤보면 항상 흔쾌히, 그리고 본인이 하던 것을 바로 멈추고 최선을 다해 함께 고민해주고 해결해 주려 하시는 분들이라서 너무 좋은 것 같다.
- 개인 리뷰
-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를 이용해 개발을 진행 해 나가고 있는데, 타입스크립트가 익숙하지 않아서 인지 개발을 하다보면 자바스크립트에 타입 에러만 해결하면서 사용하는 느낌이다.
- 이러한 부분들은 타입스크립을 좀 더 공부하고 사용 의도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정한 후 적용해야 할 것 같다.
- 깃과, 깃허브의 pull, commit, push를 많이 사용하며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 평소 혼자 공부할땐 아무 생각없이 개발을 다 진행하고 한번에 올리는 용도로 사용하였지만 팀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난 뒤 개발의도별로 브랜치를 나누고 최대한 commit과 push, pr을 나누려고 노력하며 진행 중 인데 이러한 경험을 통해 깃과 깃허브에 대한 이해도가 조금은 올라간 것 같다.
송인재
이번 프로젝트는 프론트엔드 5명이 ‘소셜 네트워크’라는 주제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프로젝트 계획 수립
→ API 구현
→ 코드 리뷰
→ 공통 컴포넌트 구현
→ 코드 리뷰
→ 페이지 배분
→ 페이지 구현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다. 각 부분들을 각자가 맡는 것이 아닌 하나의 파트를 모두가 함께 구현하고,
각 파트마다 끝날 때마다, 코드리뷰를 진행하는 하나의 사이클을 구성하고있다.
이러한 방식을 처음 적용해보는데 모두가 함께 한 파트를 진행하고 있어
각 파트마다 서로의 의견을 들을 수 있고, 프로젝트를 함께 옆에서 진행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
좋은 프로젝트 진행사이클인 것 같다는 느낌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