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tom 수준에서 Prop을 받을 때는 정의된 이벤트 속성으로 Prop을 받는다. 이외의 경우 Prop 명은 ‘on ~ 행위의 결과’ 방식으로 네이밍. 그렇지 않으면 겹치거나, 하위 컴포넌트로 내려가면서 이벤트의 동작이 가려진다.
2. handle 명 역시도 ‘handle ~ 행위의 결과(동사 명사)’로 작성한다.
가령) 댓글 작성은 handleCreateComment
3. state 변경은 handle 함수 안에서 한다.
4. 기간에 기획이 무리하게 큰 경우, 어쩔 수 없이 하나의 PR안에 여러가지 작업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commit 제목의 타겟의 구체도는 최대한 높게 가져간다. 유저 관점이 아닌 개발자 관점에서 적는다. 내용은 유저 관점과 개발자 관점 둘 다 적는다.
혼자 작업하는 경우, 왠만해선 하나의 PR 안에 하나의 작업만 들어가기 때문에, 제목은 간결하게,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 경우 본문에 무엇과 왜를 설명한다.
5. 브랜치 명은 ‘작성자명/컴포넌트 혹은 페이지’로 작성한다. ‘작성자명/커밋 타입(fix,feat)/컴포넌트 혹은 페이지’가 더 명확하지만, 역시 신입들이 취업준비를 할때 프로젝트에선 하나의 PR안에 많은 내용이 들어가므로 구체화 수준을 한 단계 낮춰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