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FE-CSstudy-withlia/하신영-serverless.md at 4d8cef4f54f7a3248260e7804018c52c068449d0 · prgrms-web-devcourse/FE-CSstudy-withlia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서버리스하면 서버가 아예 없다는 뜻 같지만, 그런 의미가 아니라 서버를 프로비저닝, 관리 또는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서버 개발, 관리에 대한 부담감 서버리스란 개념이 등장하기 전 사용자는 직접 서버를 개발하고 운영해야 했습니다. 전산실을 떠올리면 이해가 쉬울 텐데 서버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두 관리해야 했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나갔습니다.https://github.com/prgrms-web-devcourse/FE-CSstudy-withlia/blob/4d8cef4f54f7a3248260e7804018c52c068449d0/4%EC%A3%BC%EC%B0%A8/%ED%95%98%EC%8B%A0%EC%98%81-serverless.md 참고🚀 nextJS 뭘로 배포할까? (Netlify, Vercel, Github page)이번 포스팅에서는 , 서버리스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대표적인 3개의 배포 플랫폼을 Netlify, Vercel, Github page 모두 사용해보며 비교해보기로 했다. Vercel은 기존에는 zeit now였었는데, '2020년 4월 21일'부터 zeit에서 Vercel로 브랜드 네임을 바꿨다. TL;DR #. Source 1. nextJS란? 2. 서버리스 배포플랫폼 3. Netlify vs Vercel 4. Faas vs Github page 5.https://taeny.dev/javascript/nextjs-with-deployment-platform/서버리스란(Serverless)?본 포스팅은 노마드 코더 영상과 서버리스 서비스 관련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서버리스의 개념을 살펴보고 나름대로 정리해본 포스팅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으면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이 아니다! 백엔드인데 직접 서버를 관리하지 않는 경우 를 뜻한다. (= Backend without serverless) 서버리스를 활용하면 백엔드를 서버에 올리는 게 아닌, 백엔드를 작은 함수단으로 쪼개서 내가 직접 관리하지 않는 서버로 올린다(ex.https://velog.io/@dwa_all/%EC%84%9C%EB%B2%84%EB%A6%AC%EC%8A%A4%EB%9E%80Serverless"데이터 계층을 위한 탄력적 컴퓨팅"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의 이해서버리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시작은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하게 해주는 AWS 람다(Lambda)였다. AWS 람다는 서비스형 함수, 즉 FaaS(Functions as a Service)의 한 형태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와 구글 클라우드에서 다른 형태의 FaaS 구현도 뒤따라 등장했다. ⓒ Getty Images Bank 이후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다른 서비스도 서버리스 형태로 제공하기 시작https://www.itworld.co.kr/news/228914서버리스란?서버리스(serverless)란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모델입니다. 서버리스 모델에도 서버가 존재하긴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와 달리 추상화되어 있습니다.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서버 인프라에 대한 프로비저닝, 유지 관리, 스케일링 등의 일상적인 작업을 처리하며, 개발자는 배포를 위해 코드를 컨테이너 에 패키징하기만 하면 됩니다.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native-apps/what-is-server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