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horizontal scroll이 가능한 원리가 부모의 너비보다 컨텐츠의 너비가 클때 스크롤바를 숨기고 x축 스크롤기능을 활용하는 것 맞나요?
제가 이해한 바가 맞는지 알려주세요!
질문 2) css작업 하실때 어떤 스타일로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각 컴포넌트마다 따로 파일 vs 한군데 몰아넣기
- 자식, 후손 선택자 등을 적극 활용 vs 클래스 활용
- 미디어쿼리 분기별로 만들어 놓고 내부에서 선택자 활용 vs 선택자 내부에서 미디어쿼리 활용
질문 3) 만약 2차원 레이아웃(수직, 수평 동시에 사용해야함)이라면 그리드를 적극활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질문 4) 제가 기본은 제대로 숙지해야겠다고 생각한 것들은
- HTML/CSS/JS
- React, Redux, TS
- 네트워크,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컴구조와 운영체제는 기초정도만)
- 브라우저 렌더링
- 웹팩, 바벨
이정도 인데요. 혹시 추가적으로 제대로 숙지해야할 것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질문 5) 만약 특정 사이트(메인페이지만)의 반응형 레이아웃을 클론코딩(only css)한다고 하면 시간이 얼마나 소요될까요?
평범한 주니어 기준입니다!
질문1) 네! 스크롤바보다는 부모 엘리먼트를 벗어나는 자식엘리먼트를 보여주지않는것이 정확하겠네요
overflow hidden
질문2)
- 프로젝트 상황마다 달랐습니다. 하지만 번들러를 통해 하나의css파일을 만들어내는것은 어렵지않아요. 그래서 관리측면에서 컴포넌트별로 css작성하는것을 선호합니다.
- 클래스를 활용하는것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자식선택자를 사용하지않는것도 아니에요. 필요하면 써야죠!!
- 미디어쿼리로 큰 틀을 우선 분기한뒤 각 화면에 맡는 세부 클래스를 정의해주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질문3) 그쵸. 그리드를 활용하기 가장 좋은 구조로 보입니다~!!
질문4) 말씀해주신 부분이 많은회사에서 fe스택으로 사용하는 기술일지라 그정도만 제대로 아시면 문제없습니다.
다른사람들의 코드도 많이보되, 훑어만 보면 의미가 없습니다!
요리하는 친구거 칼질연습할때 무를 사서 무 채를 주구장창 썰기도 하더라구요. 무채만 주구장창 먹던데.. 어쨋든..
개발자라는 직업은 코딩을 연마해야겠죠?
많이 써보시고 이렇게도 써보시고 저렇게도 써보시면서 삽질도 하시고 실패도 해보시길 바랍니다! 코드를 작성하고 지우고 고민하고 다시작성하는 그 과정이 모두 경험치가되어 우리를 먹여살릴거에요. 꼭 코드를 많이 쳐보시길바랍니다!!
질문5) 하루 8시간으로 잡고 8x2=16시간으로 끝낼수있으면 좋겠네요!
다만 css속도를 올리는데에 너무 시간을 쏟진마세요~! JS가 더 중요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