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본
최종 확정 일자 : 2022-06-17 (금)
- 변경된점
- 요청 url “/api” prefix 추가
- 게시글 이미지 등록 추가
sequenceDiagram User->>+Client: 게시글 작성 요청 Client ->> API_Server: POST /api/posts Note over Client, API_Server: 게시글 작성하는 API 요청 API_Server ->> Post : 게시글 작성 요청 Post ->> PostImage : 게시글 이미지 등록 요청 PostImage -->> Post : 이미지 응답 및 예외처리 Post -->> API_Server : 게시글 응답 및 예외처리 API_Server -->> Client : 게시글 응답 및 예외처리 Client ->> User : UI 업데이트
이전 백업
2022-06-16 (목)

sequenceDiagram User->>+Client: 게시글 작성 요청 Client->>API_Server: POST /posts Note over Client, API_Server: 게시글 작성하는 API 요청 API_Server ->> Post : 게시글 작성 요청 API_Server -->> Client : 게시글 응답 및 예외처리 Client ->> User : UI 업데이트
2022-06-16 1차 수정
최종 확정 일자 : 2022-06-16 (목)
- 변경된점
- 요청 url “/api” prefix 추가
- 작성 요청 전 Member 정보 조회 추가
sequenceDiagram User->>+Client: 게시글 작성 요청 Client ->> API_Server: POST /api/posts Note over Client, API_Server: 게시글 작성하는 API 요청 API_Server ->> Post : 게시글 작성 요청 Post -->> API_Server : 게시글 응답 및 예외처리 API_Server -->> Client : 게시글 응답 및 예외처리 Client ->> User : UI 업데이트
- API Server는 우리의 서버 환경에 들어왔다는 얘기
- 오른쪽은 도메인 흐름
- 도메인들의 선은 swim line , 도메인은 주로 서비스나 레포를 같이 담당하고 있다.
- api_server는 컨트롤러나 엔드 포인트로 보면 좋습니다.
- 어디서 뻗어나가야할지는 controller들렸다가 서비스 갈건지 아니면 서비스에서 바로 갈건지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