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on Review 관련 커피챗 주제
김경현
- 노션 리뷰 중 - 저는 같은 특성을 가진 폴더들을 묶어놓았을 뿐 체계적인 구조가 없습니다. 폴더의 구조는 보통 차용하는 프레임워크에 따라서 달라지나요? 아니라면 폴더 구조에 대한 룰이 있을까요?
- 동근님은 어떤 가치관으로 코드 구조 & 설계를 하는지? 보통은 어떻게 많이 하는지? 이와 비슷한 고민이 될 때 어떻게 해답을 찾으시는지?
- TDD? 단위 테스트? E2E? 테스트 코드에 대해 궁금합니다!
- 보일러 플레이트라는 개념이 미리 필요한 것들을 설치해 놓은 폴더를 하나 만들어 놓고, 새로 프로젝트 시작 할 때마다 그 폴더 자체를 복사해서 사용하면 되는 것인가요?
신다혜
- TS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 동근님은 현업에서 어떤식으로 TS를 사용하고 사용하고 있는지?
노강표
- 새로운 서버요청, 클라이언트단에서 처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 유저 경험상 fetching이 반드시 된 후에 보여줘야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주신 부분이 게시물 작성부분인데, 이부분도 게시물작성 요청을 보내고 응답받은 부분을 ui에서 처리해 줄 수 있지 않은지가 궁금합니다!
- 게시물 댓글, 좋아요기능은 로컬에서 UI처리를하고 서버에 fetching은 따로 하는경우가 많다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오류가 났을때의 상황을 인지하기위해선 어느정도의 딜레이는 감안한다는 얘기가 맞나요?
- 네트워크 요청 최소화에대한 생각이 궁금합니다!!!
- 에러핸들링에대해한 질문입니다! 현재 api호출을 index.js에서 공통된 부분을 처리하고, 이후 필요에따라 다른 이름의 api파일을 만들어서 사용중인데요! 최초 응답 결과인 index.js에서만을 try catch문을 사용해도 되는지? try,catch를 어떤관점에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이지원
- App.js 내부에서 처리해야하는 범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현재 새로운 과제를 진행하면서 App.js에서 많은 역할을 처리하는 형태의 코드를 다시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전 노션과 비교해서 App.js의 역할이 또 달라진것 같아서 통일성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App.js의 정확한 역할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이외 4주차에 대화하고 싶은 내용 👇
- 최근에 다양한 스터디나 컨퍼런스에 참여하면서 모노레포를 이야기가 많이 나오던데 당근에서도 협업에서 모노레포를 통해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계신가요?
타입스크립트 관련 질문
- TS를 공부해봤는데, 생각보다도 더 학습비용이 높아서 당황했는데 학습 상태가 낮을 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도메인만 타입을 선언한다던지...
- 학습 방법에 대해서도 질문드리고 싶어요! 지금은 타입스크립트 사슴책과 공식문서 핸드북을 보고 있습니다~
(지금 자바스크립트도 부족한 상태에서 타입스크립트를 공부하는게 현명한 방법인지에 대한 고민도 조금 드는데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
- 동근님은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시는지에 대한 상세 질문인데요. 위와 겹칠 수도 있지만 질문드립니다.
tsconfig
는 어떤 기준으로 설정해두시는지도 궁금하네요! strict 모드를 사용해봤더니 타입을 전부 맞추기 굉장히 어렵더라구요.- 애용하시는 타입가드가 있으신가요?
- utility 타입에 대해서 보고 있는데, 현업에서는 어떤 타입들이 많이 사용되나요? 같이 스터디하시는 분이
Partial
지양되고,Record
,Omit
등이 많이 사용된다고 들었는데, 실제로는 어떤 효용이 어떤가요?
- 타입스크립트는 객체 지향적으로 많이 사용되나요? 타입스크립트는 인터페이스와 클래스 문법(추상클래스 등등) 덕분에
implement
,extends
등 객체를 다룰 때 유용하게 쓰이는 것들이 많아보이더라구요.Record
문법도 사실상 객체의 key, value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처럼 보여서요!
- 처음 개발을 시작할때 몇프로정도까지의 엣지케이스를 고려하여 작성하는지? 엣지케이스를 검출하는과정?(이를 검사하는 과정이 테스트코드의 역할인가요?!)이 궁금합니다.
-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버그에관해서 처리의 우선순위를 어디에두고 처리하시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