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 간의 수업과 과제를 진행하면서 새로 알게 된 개념이나 잘못 알았던 개념에 대해 이야기 해봅시다.
이한주
- YML 파일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설정 방법을 알게 됐다.
- YML 파일에 대한 기본적인 형식과 분리 방법을 알게 됐다.
- UUID의 개념에 대해 따로 공부하고 알게 됐다.
방은혁
- 과제를 진행하면서 Text-IO 라이브러리에 대해 알게 됐다.
- 과제를 진행하면서 이론만 알았던 직렬화, 역직렬화를 직접 구현해 봤다.
- Log 관련 설정을 새롭게 알게 됐다.
- Profile 설정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됐다.
- 설정파일의 값을 사용하는 과정에 대해 알게 됐다.
정다현
- cli을 통해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것을 배웠다
- 자바의 타입 추론을 해주는
var
키워드 알게 됐다
@Profile
어노테이션을 처음 배웠다
김지웅
- Gradle과 SpringInitializer로만 프로젝트를 생성해봤는데 Maven과 CLI로 프로젝트 생성을 처음해봤다.
@Profile
어노테이션에 대해 처음 알게되었다.
@Resource
에 대해 처음 알게되었다.
강태산
- Bean의 LifeCycle을 이해하고, 빈에 대한 콜백함수를 이해할 수 있었다.
- 생성 후 콜백, 소멸 전 콜백
- 스테레오 타입에 대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다.
-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관리하는 객체를 식별하게 해주는 마커의 역할
- 다양한 Bean 주입 방식을 배우고, Spring에서도 생성자 주입방식을 옹호한다는 사실에 신뢰도가 올라갔다.
- Spring에서 path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Resource를 가져온다는 것을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 ApplicationContext는 ResourceLoader의 구현체
04/15 금 RBF
- 테스트 강의에서 느낀 점들
- 바우처를 바우처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야 할까?
- 테스트 코드를 위해 메인 코드에서 사용하지 않는 비즈니스 로직을 추가해야할까?
- 지갑 도메인을 따로 나누어야할까 아니면 customer안에 넣어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