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
- 프로젝트 설명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과 기술 스텍이 전혀 적혀있지 않음.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과 기술 스텍에 대해서 단순히 나열되어 있음.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과 기술 스텍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적혀있음.
사례) 이력서 내 프로젝트
- 익명3 이력서

- 워니님 이력서 (링크)

깃허브 / 위키
- 프로젝트 설명
readme 파일이나 github wiki가 존재하지 않음.
프로젝트 설명이 되어있으나, 기능을 쉽게 파악하기 어려움.
프로젝트 설명이 상세하고, 기능을 파악하기 쉬움
+@ [기획서]
- git strategy
master branch 외에 다른 branch가 사용되지 않음.
master, dev branch 정도로 배포 여부만 가볍게 확인함.
feature, hotfix branch가 자주 사용되고, Pull Request를 자주 확인할 수 있음.
- 코드 리뷰
코드 리뷰의 흔적이 전혀 없음.
코드 리뷰의 흔적이 있음.
코드 리뷰가 Issue나 Pull Request에 활발하게 진행됨.
- 커밋 로그
- pr - 이슈 정확히 일치하지 않았던 부분..
- 하나의 pr의 다른 도메인?이슈가 섞였던 부분
커밋 로그가 전혀 관리되지 않음.
커밋 로그를 잘 쓰려고 노력한 흔적이 있음.
커밋 로그를 체계적으로 잘 관리함.
코드
- 보안 및 파일 관리
- eslintError ? 등 불필요한 파일은 조금 남아있었다.
- 폴더구조 등 불완전한 부분 있다.
노출되서는 안 되는 .env 파일이나 인증 정보가 노출되어 있다.
인증 정보가 노출되어 있지는 않지만, 불필요한 파일이 깃허브에 남아있다.
위 사항에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
- 디렉토리 구조
- 분리는 되어 있으나, 저희는 통일성이 없었다.
cheQuiz
- 스타일 통일성을 프로젝트 기간 이후 리팩토링으로 뺐던 부분
디렉토리 구조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체계적인 디렉토리 관리를 위해 분리는 되어 있으나, 구조를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특별히 고민하지 않고도 디렉토리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코드 스타일링
- CheQuiz
- Luvook (러북)
코드 스타일링이 전혀 일관적 이지 않다.
일관된 코드 스타일링이 적용된 듯 하지만, 일부 코드는 적용 되어있지 않다.
실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코드에 스타일링이 적용되어 있다.
아래는 빠르게 확인만
프로젝트 기술 면접
- 직관성
- 기술적인 설명이..
말이 장황하여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대략 무슨 프로젝트인지 이해는 되지만, 여러 번 꼬리질문을 해야 이해할 수 있다.
한 번에 프로젝트를 이해할 수 있었다.
- 구체성
- 프로젝트 기능 설명이..
기술 설명이 이론적이라서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대략 무슨 기술을 사용했는지 이해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설명이 다소 부족하다.
한 번에 어떤 기술을 사용했는지, 어느 기능에 사용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 정확성
- 면접 대상자가..
잘 모르는 내용에 대해서 아는 것 처럼 이야기 한다.
잘 모르는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려 노력하지만, 이해가 되지 않는다.
설명하는 내용은 대체적으로 정확하다.
- 기술 수준
- 해당 프로젝트가..
부트캠프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해서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
부트캠프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해서는 충분히 다뤘지만, 그 이상을 다루지는 못했다.
2년차 개발자에 준하는 기술 수준을 갖추었다.
- 태도 및 자세
- 면접 대상자가..
면접에 임하는 태도가 불량하고, 자신감도 부족하다.
면접에 임하는 태도가 불량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하나 하나는 갖추었다.
면접에 임하는 태도가 바람직하고, 자신감도 충분하여 같이 일하고 싶은 느낌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