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
- 자기소개
- ‘김창민이다!’
- 계획, 목표 좋아하고 잘한다.
- 협업에도 도움 된다.
- Q. 개발자로서 목표, 사람으로서 목표
- 개발자 목표는 프론트엔드로 시작해서, 백엔드와 다른 부분
- Q. 프론트엔드로 결정한 이유 / 강점
- 둘 다 했을 때 프론트를 조금 더 잘했다
조금 다 추상적인 느낌
- 강점은 잘모르다.
- 사람 목표는 아직 잘 모르겠다.
- 부트캠프 소개 및 어떤 경험을 했는지
- [의도] : 왜 프론트일까 에대한 의문 해결을 위해
- ~~ : 코드 읽는 것과 실력성장의 계기
- [Q. 가장 많이 성장한 부분이 있다면?]
- 기술적: react 활용도
- 문서화, 협업 등..
설명하는데 잘 와닿지는 않음. 키워드가 없는 느낌?
,좀 길어지는 느낌
- [Q. 코스 외의 개인 공부 어떻게 하고 계시는지]
- 의도
- 프로젝트 리팩토링, 프로젝트와 함께 학습
- [Q. 개인프로젝트는 어떤 목표를 가지고 계신지]
- 이전은 컴포넌트 구조 개선
- 목표:
- 아바타 컴포넌트 리팩토링 설명
- 이미지 업로드 성공 후 API Call 2번, 시간적인 측면
- Q. 최적화 관련 진행 경험
- 폼 구현 시, 상위컴포넌트에서 관리하는 부분
제시한 방향 맞는지 잘 모르겠다?
- 인증에서 보안관련 처리 한 것 있는지
- 인증 jwt 토큰으로 진행
- CSRF 방지하기 위해 쿠키 사용가능
- [Q. CSRF란 무엇인지]
- 요청을 위조해서 서버를 공격
CSRF 방어 가능한 방법있지만 잘모르겠다.
[준혁]
- AuthRoute 구현 방법?
- 리액트 라우터에서 제공하는 라우터 컴포넌트가 작동하기 전에 인증 하는 로직을 넣기 위해 AuthRoute 컴포넌트 만듬
- 서버 요청 해서 인가
- pre-commit hook?
- git-hook에서 동작하는 원리
- lint-staged
- 장점과 단점
- github-action
- 2주 프로젝트 → 그때 당시에는 잘 몰랐다.
- 백엔드를 새로 구축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목적
- 주어진 API가 프로젝트에 최적화 되지 않음
- 상태 관리
- Context api가 전역 상태 관리 도구인가?
- Context api를 사용한 이유?
- 전역적으로 상태를 관리할 부분이 인증 정보나 퀴즈 정보 정도 말고는 없다
- prop-drilling 최소화
- Context API를 사용하는데 있는 문제점?
- 리렌더링
- 최적화 하기 위해 사용했던 방법?
- 개인적으로 진행했던 프로젝트?
- 가계부 개인 프로젝트
- 바닐라 JS로 진행했었고, node.js 풀스택 진행
- 리액트를 사용하면서 느낀 장점?
- 컴포넌트 기반 관리
- 라이브러리이지만, 어느정도 정해진 틀
- hook, useState, useEffect,
[수경]
- CSR의 동작 과정 + 장단점
- 장점
- 화면이 바뀔 때 원하는 부분만 바뀜
- 화면 깜빡임 적음
- 단점
- html하나로 작동
- SEO에 부족
-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성공하는 것이란 ?
- 지금처럼 프론트엔드 개발에 버벅임X
- 개발 속도도 요구사항에 맞게, 빠르게, 막힘이 없다.
- 프로젝트 팀장 경험
- 팀 리딩이 쉽지는 않았다.
- 팀 의견 취합, 정리, 결론내리는 역할
- 노하우?
~모르겠지만
자주 나오는 듯- 팀원들의 생각을 이끌어 내기 위해 꾸준한 질문 → 생각 유도
- 일하고 싶은 조직 문화
- 분위기가 편하다
- 자신의 생각을 편하게 많이 얘기할 수 있으면 좋겠다.
[인수]
- 취미
- 의도: 스트레스 해소는 어떻게 할까?
- 취미가 없었다.
- 운동
창민님 소감
- 잘했다고는 생각하진 않지만, 솔직하게 말했다.
- 질문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바로바로 말한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