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도메인 vs 스택오버플로우

- 익숙하지 않은 도메인으로 우리 공동의 목표인 프로젝트 완성도를 이룰 수 있을까?
- 배포 설정
- Jira
- 워크 플로우
- 스프린트 단위 (몇일 단위로 할건지)
- 이슈 유형
- 게더
프론트와 상의 해봐야할 것
- 프론트 분들을 게더에 초대해서 마이크만 키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건 어떤지
- 협업 프로세스, 애자일 적인 부분을 어떻게 가져갈건지
- 스프린트, 회고
- 스프린트 주기는 어떻게 가져갈건지?
- 초반에는 짧게 (3~4일) 가져가면서 익숙해지고나서 길게가져가는건 어떤지?
- 일단 초반에는 익숙해지지 않았고, 일정 산정이 어려울 것 같아서
- 기획에는 핵심 인원들만 참여해서 하도록 ex) 모스카우
- 기획에 관심이 있는지 없는지도 체크해서 관심 없는 사람들은 다른 곳으로
- 예외 응답 값을 에러코드를 넘기는게 좋은건지?
배포가 먼저 세팅되어있으면 좋다.
프론트팀 전달 사항
- 시간이 25일이 남았는데 25일은 꽤나 짧은 시간이고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의미에서 기본적인 결정사항들이나 프로젝트 세팅을 목요일 전 까지 완료 시키고 목요일에 바로 기획 마무리와 동시에 구현을 시작하는게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 JIRA 워크플로우, JIRA 활용 능력 상호 체크
- 스프린트 기간(스프린트 1회 일수)
- 배포 설정 (CI/CD 세팅)
- 기본적인 AWS나 Github Action과 같은 CI/CD 환경 조성
- 프론트가 어떤식으로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배포 방식도 먼저 나오는게 좋을 것 가습니다.
- 깃 레포지토리 생성 및 뼈대 코드 작성
- 기획이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은 설정을 하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 게더를 같이 이용했으면 좋겠습니다.
- new팀 층의 규현팀 방으로 오시면 됩니다.
- 이전에 얘기 했던대로 디스코드는 입장만 해놓은 채로 게더를 위주로 사용했으면 합니다.
모든 인원이 참여하지 않아도 일부라도 참여를 해서 팀원들에게 전달하고 피드백 받는 방법으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비동기적으로 각자 업무 분담을 해서 진행을 해도 될것 같습니다.)
- PRTemplate
백엔드
- 도메인에 영향을 받는 부분을 수치적으로 가져왔으면 합니다.
- 있는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어서 말씀드렸던 부분이라 오해가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요로케 쓰면 되는겁니까
- 회고를 왜 해야하는지
- 개선 !
스포츠도메인
동네 내주위에 있는 이웃들에 한해서 풋살, 축구위주의 플랫폼이 많이 있는데 카테고리를 좀더 다양하게 해서 배드민턴, 탁구, 야구, 등등등 대결? 매치?
- ex) 7월 23일 배드민턴 복식 하실 팀 구합니다. - (게시글 형식인지?)
- 대결신청 하기 > 올린사람에게 대결신청이 왔다. 알람도 보내고?
- 전적도 관리하면서 해당 반경에 어떤 운동 항목에 대해 어떤 사람이 가장 많이 이겼는지
- 전적을 자동화 할건가요?
- 좋다
- 보통
- 안좋다
- 대결한 사람에 대해 후기도 남길 수 있다.
- 일반전/랭크전
기능 우선순위 정리
빨강색 - must
보라색 - should
회색 - can
- 입장 프로세스
- 회원가입
- 닉네임
- 프로필 이미지
- 로그인
- 팀 생성 기능
- 팀 마크 설정 - x
- 팀 이름 설정 (중복 X)
- 대결 종목 설정 (팀원 수 제한) - x
- 사용자 초대
- 사용자 승인
팀 대표 설정
팀 개설자가 default로 가져가는 걸로
- 팀 개설
core : 승률만 딱 봤을 때, 팀전인데 대표로 한다면 개인의 1명의 몰빵 느낌.
- 대결
- 게시글 작성
- 게시글 수정
- 카테고리 변경 x → 다시 작성 유도
- 게시글 삭제
- 수락은 한 순간 부터 못지움
- 게시글 읽기 (단건)
- 상세 보기 화면
- 게시글 다건 조회(대결 리스트 조회)
- 대결 조회
- 위치 설정 ⇒ 반경 ~m 안에있는 리스트 조회 ⇒ 필수
- 종목 설정, 대결 유형(개인, 팀 … ) ⇒ 필수
팀전 개인전 요소는 20일 1시에 다시 애기해보기
- 개인이서 생각해올것 (문서화 필수)
서로 수락한 상태이면 못지우게 할건지 .. 추후에 파기로 기록하는 수단을 만들것인지
========== current ==========
해당 서비스의 취지를 정립해야 한다.
너무 많은 정책들이 오가고 있는 상태임
UI 그려서 오기(그림으로 승부하기) - required
검색 조건 생각해오기
- 게시글 카테고리 별 조회
- 게시글 전체 조회 (카테고리 상관x)
- 반경 조회 기능 `[정해야함]`
- 100m
- 1km
- 2km
==== past ====
대결 신청
- 해당 팀의 전력 조회 기능 (팀 승률, 개인(주전멤버) 승률 등)
- 팀 대결일 경우 어떤 팀원들이 들어갈지 선택
- 그에 따라 팀의 인원수를 맞춰야 된다. (Validation) - policy
대결 성사
- 상대 팀에서 대결 신청 시 조회 ()
- 알림이 뜨면 수락 여부
- 댓글이든 쪽지든 뭐 (1대 1) 소통 수단
댓글 , 대댓글로 해소함
→성사된 팀 또는 사람만 달 수 있도록- 웹 소켓
- 해당 게시글(대결창) 만료?
쪽지로 대체 하는게 낫지 않을까 → UI (당근이랑 비슷하니 한번 보고 오셔요)
- 대결 이후
승패여부 확인 →
우선 게시글 작성자가 판단하는 걸로 MUST
개인이나 팀에대한 후기 작성
- 별점 혹은 텍스트로 보여줄거냐
별점 : 한눈에 파악 용이
- 텍스트 : 상세하게 알 수 있음.
- 별점 내면서 텍스트로 후기를 하느냐
- 전적(승/패) 업데이트
- 승리, 패배 업그레이드
- 개인이나 팀의 후기에 따른 뭐 별점 변화
- (컨텐츠 차별화용) 레이팅 변화 (MMR)
- 승 패 수?
- 점수 → 티어로 연계
- 랭킹 변화
- 지도로 하면 랭킹 검색 조건으로 갈 수 있을 것 같음.
형욱님 : 전적 뿐 아니라 다른 내적인 정보(매너 온도나 .. 등등) 를 알 수 있어서 required 하다
- 티어(티어별 마크) → 슈퍼 후순위
- 하수
- 중수
- 고수
- 지존
MoSCow (보존)
Must
- 회원
- 회원 가입
- 대결
- 대결 글 작성
- 위치 기반 조회 기능
Should
기타 잡것
회원
- 회원
- 이미지 (S3)
- 팀
- 이미지 (S3)
대결
- 게시글
- 대결 신청
- 대결 위치 정보 (API)
알림
Must
- 회원
- 회원 가입
- 로그인
- 마이페이지 조회
- 전적 보는 곳 또한 카테고리 별 후기도 볼 수 있는 곳
- 로그아웃
- 대결
- 개시글
- 게시글 작성
- 위치 지정 조건
- 위치를 대결 장소로 유도할지
- 게시글 작성자 현재 위치로 유도할지
- 게시글 수정
- 카테고리 수정은 x → 다시 작성하도록 함
- 게시글 삭제
- 게시글 읽기(상세)
게시글 카테고리 별 다건 조회 (위치 기반 조회 기능)
→ 정책 설정 필요- 검색 조건
- 게시글 카테고리 별 조회
- 게시글 전체 조회 (카테고리 상관x)
- 반경 조회 기능
[정해야함]
- 100m
- 1km
- 2km
- 대결(core)
- 상대방 승낙 시 게시글 삭제 할것이지도 정책 정해야함
- 대결 승낙이 와도 다른 팀 요청 계속 받을지도 정해야함
- 혹은 게시글 당사자가 commit하는 버튼도 있어야 할 것같음
- 그러면 그 외 요청들은 다 무시되는 것으로 게시글도 비활성화 상태로 둘지 아예 삭제할지 정해야 함
- 삭제 안하고 isDisplay 컬럼 추가 후 소프트 딜리트 정책으로 가도됨
- 승낙시 바로 대화창 열어버려야함
- 서로 같은 채널로 설정 해야함
- 채팅 방 열림 받을 수 있도록 어떤 페이지던 웹소켓 연결되어있어야함
- 대결 요청 하기
- 상대방 알림 전송
- 대결 요청 받기
- 상대방 info 로 보이도록 혹은 프로필로 유도
- 수락
- 확정되면 무시
- 거절
- 무시
- 후기 작성하기
- 평점 남기기
위치를 사용자에게 입력 ? default (현재 웹 또는 모바일 기준) 으로 줄지 정해야함
- 사용자가 자유로 마크 할 수 있도록 한다 정해도 첫페이지 렌더링 시에는 웹, 모바일 위치 기준으로 데이터 전달해야함.
- 위치 별로도 조회 가능하도록 검색 조건 추가
대결 요청 하기, 받기 FLOW
상대방에게 “${nick_name}”님이 대결 요청 하였습니다. 라는 문구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