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 구조
해당 폴더 안에서만 쓰는 파일들은 그 안에 따로 두어 폴더와 폴더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가깝게 하는 것이 최근 개발 동향
collocation
—> 유지보수 편함src
폴더를root
로 취급
- 재사용 되는 코드가 있거나, 공통으로 사용될 것 같다면
root
바로 밑에 위치
- 그 이외에는 사용되는 페이지 및 컴포넌트를 고려하여 최대한 가까이 위치시키기
- 폴더의 depth가 너무 깊어지거나 모르겠으면 바로 call(나중에 하면 바꾸기 더 어려움)
테스트 파일의 경우
.test.ts
테스트 하는 함수가 위치한 폴더에 바로 작성상세 구조
src

Src
하위 폴더들은 모두 공용으로 사용된다.components

constants

hooks

- hooks 폴더에는 일반적인 custom hook과 / react-query를 사용한 hook을 나눠서 보관해야 함
- 일반 custom hook은 hooks파일 바로 아래 보관
- react-query 사용 파일은
hooks/queries
폴더에 보관
- 모든 파일명 및 변수명은
use + xx
로 통일 Ex)useLogIn
- 의미가 잘 드러나게 작성
- 파일명과 변수명 일치시키기
- 한 파일에서 너무 많은 hook을 다루지 않기
export const
키워드로 선언하기- react-query를 사용하는 경우 파일명 및 변수명은 useQuery / useMutation인지에 따라 접미사로 Query / Mutation을 붙이기
- Ex) useMutation을 사용하는 경우 useFetchMutation
mocks
MSW 컨벤션pages

각 페이지별 폴더구조(핵심!!)
응집도를 높여서 폴더와 파일의 양이 늘어났을때 매우 유용

routes

stores

styles

types

util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