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무엇을 질문했나요?
오늘 프론트 팀원들과 회의하고 결정한 내용들을 피드백 받았습니다.
스크럼 관련
- 스크럼은 전체 모든 인원 참여
- 백엔드, 프론트 나누지 않는 게 좋다. 나누면 클론코딩때와 다를게 없다. 그냥 각자 할거 하고 끝 이건 협업을 통해 얻는 게 없을 것
- 스크럼 마스터(PM)는 한명
- PM을 정하는 건 좋다
- 다만 프론트, 백 둘 다 이해하시는 분이 하는 게 좋다.
- PM을 하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을 배울 것이다.
- 이슈가 있으면 누구나 이야기를 꺼낼 수 있어야 한다.
- 실제 회사에서 하는 방식으로 - 애자일로
- 해 보는 게 더 좋지 않겠냐 설득하기
- 협업의 단위는 하나의 프로젝트 단위로 돌아야 한다.
논의 해야 할 내용
- 각각 스프린트가 있어서는 안된다. 하나의 프로젝트기 때문에
- 스프린트, 스크럼 프로젝트 인원 전체가 매일 같이 하는 거
- PM은 한명, PO는 모두가
주제관련
- 운영 전에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 서비스 보다는 유저가 데이터를 만드는 서비스가 좋다.
- 현재 주제는 더 디테일한 기능이나 컨텐츠가 추가적으로 나와야 할거 같다. 포트폴리오로 쓰기에는 규모가 너무 작다.
면담관련
- 7월 27,28 또는 8월 1일, 2일 레이님 팀 중간 면담 날짜 정하기
- 매주 팀 미팅 여부와 시간 정하기(시간은 더 늦추는 방향)
기타
- 포트폴리오 들어갈 거 생각하면서 개발하기
- ex ) 2000개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할 task가 있다면? [성능 관련 작업 진행, Test작성]
“2000개의 데이터를 처리할 task가 있었고 3초가 걸리던 로직을 리펙토링해 1초로 개선했다.” 이런 식의 키워드들,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거리들을 생각하며 개발하면 좋을 것 같다.
2주차
무엇을 질문했나요?
게시글을 작성할 때 이미지와 글을 어떻게 동시에 처리해야할까요
멘토님 조언
- S3에 올라가는 이름을 랜덤으로 만들어버리거나 해싱을 하는데
- 프론트 단에서 갖고있다가 서버로 ID를 넘겨준다.
- 파일명을 만들때 UUID
논의 해야 할 내용
- 각각 스프린트가 있어서는 안된다. 하나의 프로젝트기 때문에
- 스프린트, 스크럼 프로젝트 인원 전체가 매일 같이 하는 거
- PM은 한명, PO는 모두가
주제관련
- 운영 전에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 서비스 보다는 유저가 데이터를 만드는 서비스가 좋다.
- 현재 주제는 더 디테일한 기능이나 컨텐츠가 추가적으로 나와야 할거 같다. 포트폴리오로 쓰기에는 규모가 너무 작다.
면담관련
- 7월 27,28 또는 8월 1일, 2일 레이님 팀 중간 면담 날짜 정하기
- 매주 팀 미팅 여부와 시간 정하기(시간은 더 늦추는 방향)
기타
- 포트폴리오 들어갈 거 생각하면서 개발하기
- ex ) 2000개의 데이터를 처리해야할 task가 있다면? [성능 관련 작업 진행, Test작성]
“2000개의 데이터를 처리할 task가 있었고 3초가 걸리던 로직을 리펙토링해 1초로 개선했다.” 이런 식의 키워드들,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거리들을 생각하며 개발하면 좋을 것 같다.
3주차
무엇을 질문했나요?
경매 종료할 때 스케줄링을 통해 작업을 해야하는데, 어떻게 구현하는게 좋을지
멘토님 조언
- 다음과 같다.
- 스케줄러가 1분에 한 번씩 돌면서 경매 리스트를 조회를 한다.
- 경매가 현재 진행중인지, 종료 시간이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경매 리스트를 조회한다. (연도 월 일 시 분까지)
- 일치하는 경매가 있다면 상태 완료로 처리하고 경매 종료시 수행해야할 로직들을 수행한다.
- @Transactional 클래스 단에 붙이지말고, Method 단에 붙여라
- 멘토님 같은 경우에는 Service → Controller 갈 때 엔티티를 내보내고 Controller에서 DTO로 변환한다.
주제관련
- X
면담관련
- X
기타
- 내일 백엔드 첫 오프라인 만남
- 치킨 먹는 것으로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