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1인가구의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현상에 맞추어서, 정말 적절한 아이디어의 선정이 너무 좋았던것 같습니다.
1. cursor: pointer
의 미사용
웹에서 확인할 경우 해당 게시판에 마우스를 올려도
pointer
가 적용되지 않아요.
2. 검색 후 뒤로가기 아이콘 클릭 시 기능상의 이슈
검색 후 뒤로가기 클릭 시 이벤트가 바로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두번 클릭해야 이벤트가 적용되고, 바로 직전의 화면으로 이동이 되고 있어, 해당 화면에서 검색을 여러번 할 경우 직전 검색결과로 이동됩니다. Home으로 이동이 되는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3. 숫자와 글자의 line이 서로 다른데, 의도한 것인가요??
4. My 피드
는 메인페이지로 이동이 되던데, 그렇다면 단어의 선택을 다르게 해야 하는거 아닐까요??
5. 댓글의 유저클릭 시 해당 유저의 피드로 이동이 되지 않는 부분은 아쉽네요.

6. 작성자가 메인리스트 및 상세페이지에도 보이지가 않습니다.

7. 아마도 잘못된 데이터가 출력된 부분이겠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Style은 깨지지 않아야 합니다 :)

8. 미구현 기능은 아쉽네요
글의 수정과 삭제, 주재료 및 보조재료의 선택 기능등의 미구현 부분이 보이는것이 아쉽네요
9. 메인화면에서 이미지가 깨져서 나옵니다.
올렸던 이미지의 비율과 다르게 나와서 이미지가 깨지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dth - height의 비율문제)
코드관련
- api 분리시켜서 리스트업하여 사용한 부분은 좋은것 같습니다.
const postApi = { getUserPostList: (userId, params) => instance.get(`posts/author/${userId}`, { params }),
- 버튼, 공통 인풋 등을 만들때...
해당 컴포넌트를 만들때 과연 꼭
fontSize, fontWeight, width, height
와 같은 요소가 필수일까요? 사용되는 스타일은 한정되어 있고, 경우의 수에 맞게 해당 컴포넌트에서 만들어서 분기처리를 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화면에서 관련된 요소를 모두 집어넣어주다보니 한 페이지에서 해당 컴포넌트를 사용할때마다 라인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충분히 줄일 수 있는 부분이었다고 생각이 드네요.
<CommonFormInput name="password" type="password" className="form-item" label="비밀번호" fontWeight="normal" fontSize={16} tag="h3" width="100%" placeholder="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onChange={setUserInfoValue} /> <CommonFormInput name="passwordConfirm" type="password" className="form-item" label="비밀번호 확인" fontWeight="normal" fontSize={16} tag="h3" width="100%" placeholder="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해주세요" onChange={setUserInfoValue} />
- 코드보다가 보이는 부분 리뷰...
likes.find(user => user.user === userId) -> likes.find({user} => user === user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