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의 내용은 스프링 데이터 JPA를 이용한 페이징, 스펙 사용등의 다양한 조건 처리에 관한 내용이다.개인적으로 이런 쿼리들을 querydsl을 사용하는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열심히 읽지 않았다. 아래 범균님의 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깊이 있는 학습을 대체한다. 참고)[QA] JpaRepository를 상속하지 않은 이유회사 동료로부터 JpaRepository를 상속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라는 질문을 받았는데 그때 얘기한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참고영상: CQRS 아는 척하기 1 - https://youtu.be/xf0kXMTFJm8https://www.youtube.com/watch?v=MMH_ht8pf8U&ab_channel=%EC%B5%9C%EB%B2%94%EA%B7%A05.1 시작에 앞서5.2 검색을 위한 스펙5.3 스프링 데이터 JPA를 이용한 스펙 구현5.4. 리포지터리/DAO에서 스펙 사용하기5.5 스펙 조합5.6 정렬 지정하기5.7 페이징 처리하기5.8 스펙 조합을 위한 스펙 빌더 클래스5.9 동적 인스턴스 생성5.10 하이버네이트 @Subselect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