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웹 기술 역사
과거
- 서블릿 - 1997
- 자바 코드로 짜야됨
- HTML 생성이 어렵다.
- JSP - 1999
- JSP가 서블릿으로 바뀜
- HTML 생성이 편리하지만, 비즈니스 로직까지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함
- MVC model 1
- MVC 프레임워크 춘추 전국 시대 - 2000초 ~ 2010초
- 스트럿츠, 웹워크, 스프링 MVC
현재
- 애노테이션 기반의 스프링 MVC 등장
- @Controller
- 춘추 전국 시대 통일
- 스프링 부트의 등장
- 스프링 부트는 서버를 내장
- 과거에는 서버에 WAS를 직접 설치, 소스는 War 파일을 통해 배포
- 스프링 부트는 Jar에 WAS 서버 포함 → 빌드 배포 단순화
최신 기술 - 스프링 웹 기술의 분화
- Web Servlet - Spring MVC
- Web Reactive - Spring WebFlux
자바 뷰 템플릿 역사
- JSP
- 느리고 기능이 부족함
- Freemarker, Velocity
- 속도개선, 다양한 기능
- Thymeleaf
- 어려움
- 내추럴 템플릿
- 스프링 MVC와 기능 통합
- Mustache
- 쉬움
스프링의 프로젝트
- 모던 자바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포괄적인 기술을 제공
- 개발자가 application-level의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함
특징
- 핵심 기술
- DI, events, resources, i18n(국제화), validation, data binding, type conversion, SpEL, AOP
- 테스트
- mock objects, TestContext frameworks, Spring MVC Test
- 데이터 접근 기술
- transactions, DAO support, JDBC, ORM
- 웹 기술
- Spring MVC & Spring WebFlux
- 언어
- 코틀린, 그루비
- Spring Boot는 Spring-based Application을 “just run” 하면 실행 되도록 도와줍니다.
Features
- Create stand-alone Spring applications
- 내장 Tomcat, Jetty or Undertow → War 로 배포 안해도 됨
- 손쉬운 빌드 구성을 위한 starter dependency 제공
- Spring과 3rd party liberies의 간단한 설정
스프링을 만든 이유, 핵심 컨셉
❌
- 웹 앱, DB 접근 편하게?
- 웹 서버 자동 띄워주기?
- 클라우드, 마이크로서비스?
🟢
-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준다.
- EJB → EJB 종속적인 코드가 됨/ POJO 등장
- 스프링의 IOC 컨테이너에 그 핵심이 있다. → OPC, DIP를 가능하게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