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6일 진행사항
- 개발
Validation 규칙 정하기 :Controller + EntityDTO 네이밍 규칙 정하기 :EntityName+Request / CreateRequest- Exception 처리 규칙 정하기
- 시퀀스 다이어그램 코드리뷰하기
- 전반적으로 수정해야 함
패키지 구조 FIX 하기
ERD FIX 하기
워크플로우 작성하기
스프린트 시작하기
개발환경 문서화
- ✨ Jira Git 연동하기
- 추가로 진행중에는 담당자가 각각 1명만 되도록 규칙 설정 찾기
- Swagger vs RestDocs 비교 정리
스프린트 주말 진행- 1시~3시 공통적으로 진행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다면 저녁에 한번더 모이기
UseCase 문서 안에 링크를 못들어 감해당 내용 관련 수정 필요
6월 17일 이야기 해볼 내용
- 스프린트 회고 진행
미루기
→일요일 밤 또는 월요일 아침
- 소
나큐브 vs 플라이웨이 이야기 해보기 - flyway 적용 (jpa - validation 으로 DDL
create
절대 안돼!!!) → 빨리 정해야 한다! - 소나큐브는 옵셔널 >
프로젝트 중간에 한번 적용해서 한번에 처리
하는 걸로
- 플래닝 포커 - 개발 진행순서 이야기해보기
- 각자 어떻게 진행할지 생각해오기
Git Hook 멘토님이 주신 파일 적용해보기 (진형님)- 컨벤션 관련해서 파일 내용 수정 필요하면 멘토님께 요청 드리기
- 전반적으로 실제 워크 플로우(Jira의 워크플로우와는 다름!!!) 문서화하기(리뷰하기)
- 실제 업무 프로세스를 문서화 하기
- 예시
- 우리는 오전에 회의 → 회의록 링크
- JIRA 티켓을 만들고 → JIRA 링크
- 개발 시작하고
- 예시에 나온 링크 항목을 추가 해서 업무 흐름대로 바로 찾아 갈 수 있도록 하기
- JIRA의 워크 플로우를 한 문서로 정리하기 (리뷰하기)
📌프론트 개발환경 React → Thymeleaf 로 변경- 백엔드 전 인원이 할 수 있는 걸로 하기 위함 → 프론트 단을 고려하면서 개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멘토님의 조언)
- CORS 설정은 어떻게? 🤔
리액트로 임의로
GET
POST
통신만 할 수 있는 더미 프로젝트 생성후에 백엔드 CORS 설정 하기!
response 에러 코드도 정해야 하지 않나용?- prefix(Post → p, Validation → v) 식으로 가져가며 + 숫자 네자리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 v1010
Exception 규칙- 상속 vs 이너 스태틱 클래스
- 상속 - 컨트롤러 어드바이스에서 상위 클래스로 Exception을 캐치해 한번에 관리할 수 있다.
- 상속이 깊어지면 리플렉션? 성능이 안좋아질 수 있다.(병연)
- 이너 스태틱 - 성능이 좋을 수 있다?(병연)
- Enum - 중앙 집중화된 위치에서 전체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에러코드를 관리 하고자 함
- NotFoundException 등 공통된 ErrorCode마다 이너 Enum을 만들면 지저분해짐
- 각각의 Enum을 만들면 중앙집중화된 관리가 힘들어진다.
상속 결정~
멘토님 말씀
- 화면도 안놓고 API 설계한다는 점이 사실 말이 안된다고 생각한다 !!
- 대략적인 스케치를 보면서 진행해야 한다.
- 캡쳐를 해도 좋고, 카카오 오븐으로 직접 그려도 좋고 스케치를 보면서 어디까지 화면을 구현할지를 정하고 API 설계를 보면서 백엔드 개발에 들어가는 것을 추천한다 !
- 프론트는 나중에 개발하는 것 보다는 백엔드와 같이 가는 것이다 !
- 기껏 백엔드 다 만들었는데 프론트에 끼워 넣는것도 아니고 다 만들었는데 수정하면 영향범위가 커지게 된다.
- 분업과 협업 잘 조율하자.
스프린트 플래닝
- 참고 :DAY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