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자료에 올릴 때는 줄여서 작성할 예정입니다.)
자전거 모임에 대한 데이터들을 규칙에 맞춰서 관리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들이 보다 빠르게 원하는 라이딩을 검색할 수 있게 되었고, 라이딩을 모집하는 사람 입장에서도 작성 방식에 대한 고민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규칙에 따라 모집 글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기획에서 목표로 했던 자전거 커뮤니티의 편의성 개선 목적을 달성했다고 생각한다.
지속적 배포 환경을 빠르게 구축해서, 실제 서비스 상황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발 초기 단계부터 테스트를 통해 미리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었다. 덕분에 개발한 기능들에 대한 현실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고, 개발 마무리 단계 작업을 순탄하게 진행할 수 있었다.
운영 환경을 구축할 때 할 수 있는 한 AWS 플랫폼에 의존성을 줄이려는 개인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서 만족스러웠다. https 설정을 AWS의 ELB가 아닌 nginx로, 배포 서버 환경 모니터링을 AWS CloudWatch가 아닌 java의 http 전송모듈과 slack api로, CI/CD를 AWS codedeploy가 아닌 github action과 docker hub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다채로운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