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0/27 ~ 10/31] 프로젝트 중간 점검
현재 팀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는지, 돌아서 가고 있지는 않은지, 정말 유의미한 프로젝트인지! 멘토님들의 조언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입니다. 멘티들에게 아낌없는 조언을 보내주세요.
1️⃣ 프로젝트 점검 담당 팀
현재 무민, 마크팀의 멘토님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중간 점검과 최종 점검을 다른 멘토님들이 나누어 진행합니다.
예를 들어 론 멘토님은 론 1팀, 론 2팀과 더불어 아래 팀을 담당 시기에 프로젝트 점검을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프로젝트 점검
위와 같이 배정하였으나 타 팀에 대한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2️⃣ 중간 점검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각 팀은 아래와 같은 자료를 제출합니다.
- 프로젝트 중간 발표 영상
- 팀 대표가 5분 내외의 영상을 제출
- 해당 영상엔 전반적인 프로젝트 소개(스펙, 요구사항, 와이어프레임 등), 프로젝트 진척도 포함
- 회고록
-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어려웠던 점과 문제점, 해결방안을 팀끼리 논의한 후 회고록을 작성
멘토님들은 이렇게 피드백해 주세요!
- 중간 발표 영상과 회고록을 참고하시어 방향성을 제시해 주세요!
- 예) 현재 남은 시간으로는 A 적용하는 게 어려울 것 같아요. B를 사용해보면 어떨까요? + B 공식 문서 링크 첨부
- 예) 전반적으로 커밋 단위가 너무 큽니다. 조금 더 쪼개보면 어떨까요?
- 예) 칸반보드, 회의록으로만 봤을 땐 문서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더불어 서로 다른 방향성을 지니고 있는 것 같은데 회의를 통해 한번 더 점검해보면 어떨까요?
- 예) *회의록을 참고한 후* 협업에 있어 의견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현업에서도 위와 같은 사례는 자주 일어나곤 합니다. 개인적인 소견이지만 저는 이렇게 해결했어요. ~~~
기술
협업
- 중간 점검이기에 무겁지 않게 코칭하는 수준으로만 진행해 주세요.
3️⃣ 노션 페이지에 남겨 주세요!
해당 피드백들은 지난 과제 리뷰처럼 칸반을 만들어 저에게 주소를 공유해 주시면 열람 권한을 설정하여 해당 팀에게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왜 이렇게 해야 할까요?
- 해당 프로그램에서 멘토님들이 "실제 멘토링을 진행하고 있음"을 증빙하기 위함입니다.
- 그렇다고 엄청 공들여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문서화만 된다면 괜찮습니다.
- 서로의 피드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다른 팀들도 타 멘토님들의 피드백을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참고 사항
- 프로젝트는 11/3까지 진행됩니다.
- 피드백이 빠를수록 멘티들이 더욱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프로젝트에 임할 듯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