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 루체는 8월 9일까지 api 붙이는 것도 완성한다.
{year}, YYYY
Request Url
/account-book/month/{year}
Request body
{ "results" : [ { "month" : 7, "incomeSum" : 3000 "expenditureSum" :50000 "totalSum" : -47000 }, { "month" : 6, "incomeSum" : 500000 "expenditureSum" :60000 "totalSum" : 440000 }, { "month" : 5, "incomeSum" : 500000 "expenditureSum" :60000 "totalSum" : 440000 }, { "month" : 4, "incomeSum" : 500000 "expenditureSum" :60000 "totalSum" : 440000 }, { "month" : 3, "incomeSum" : 500000 "expenditureSum" :60000 "totalSum" : 440000 }, { "month" : 2, "incomeSum" : 500000 "expenditureSum" :60000 "total" : 440000 }, { "month" : 1, "incomeSum" : 500000 "expenditureSum" :60000 "totalSum" : 440000 } ] }
- 정책
- 다나가 날짜를 보낸다.
- 루체가 응답을 보낸다.
- default로 현재 해당하는 월까지의 데이터를 보낸다.
- 내부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빈 경우
→ 없어도 해당 월까지 8월 ~ 1월까지 보여주기
→ 입력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0으로 세팅해서 전송
b. 미래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 현재가 8월인데 12월 수입, 지출이 작성되어 있다면 12월~1월까지 보여주기
- 미래 정책
- 다나가 날짜를 보낸다.
- 루체가 해당 년도가 미래인지 판단한다.
- grouping 해서 데이터를 보낸다
- 데이터가 없다
- grouping 해서 데이터가 있다
→ 루체는 list를 빈 배열로 보낸다.
→다나는 데이터가 없다고 화면 보여준다.
→ 사용자가 작성한 해당 월의 수입과 지출의 내역을 보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