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목차
내용
소나 큐브
지속적
으로코드의 품질
을 높이고유지 보수
하는데 도움을 주는정적 분석 애플리케이션
- 탁월한 분석기능으로 개선 사항을 자세히 알려주고
코딩 컨벤션부터 잠재적 위험 사항
까지 안내해 줍니다.
- CI 엔진과 통합되어 분석이 가능합니다.
CI : 지속적 통합
- 개발을 진행하면서도 품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여러 명이 하나의 코드에 대해서 수정을 진행해도 지속적으로 통합하면서 관리할 수 있음
- 개발자가 빌드와 테스트를 직접 하지 않고도 수정한 코드를 브랜치에 병합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빌드와 테스트를 검증할 수 있다.
⇒ 버그를 신속하게 찾아 해결하고 소프트웨어 품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검증하고 릴리즈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 소나 큐브 다운로드
sh
sonar.sh
console
사용해서 실행합니다. (Linux 사용)
- 각 운영체제에 맞게 실행하면 됩니다.
🧀 소나 큐브 실행하기 (도커 x)
http://
http://localhost:9000

- 프로젝트 create 창이 나옵니다.
⇒ 저희는 데브옵스가 따로 없기 때문에
manually
를 선택해줍니다. 
-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project name
과project key
를 정하면 됩니다.

display name
을 작성하면project key
도 자동으로 완성됩니다.
⇒ 나중에 사용할 것 이니
project key
도 기억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저희는 로컬에 있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Locally
를 눌러줍니다.

- 이후 Token name이 뜨면
generate
해줍니다.

project token
을 따로 copy 합시다 ! (user token과는 별개입니다 !)

- 이후 본인의 빌드 도구에 맞는 명령어를 copy 합니다.
빌드할 때 사용할 명령어
입니다. copy해서 사용합시다 !

⛔ 에러

- 빌드 중 위의 에러가 난다면 jdk 16과 maven 3.6.1이 호환되지 않아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 해당 링크를 따라해주세용
🐾 Intellij 설정
// maven <pluginManagement> <plugins> <plugin> <groupId>org.codehaus.mojo</groupId> <artifactId>sonar-maven-plugin</artifactId> </plugin> </plugins> </pluginManagement>
- SonarLint에 들어간 후 위에서 제일 왼쪽에 아이콘 중
공구 모양
을 클릭합니다.

CONFIGURE THE CONNECTION
들어가기

+ 버튼
을 눌러서connection
을 추가해봅시다.

- URL에
http://localhost:900
0
을 입력해줍니다.

- 발급받은
uer token
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id, pw
도 가능합니다)

- create를 눌러줍시다

- 앞에서 저희가 작성했던 Project key 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

- 설정 후 앞에서 copy 했던
빌드 명령어
를 입력해주면 build 됩니다 !
⇒ 그러고 소나큐브 페이지에 가면 분석이 되어있습니다 끝 !

🌟 설정 다 하고 나면

- 제 프로젝트의
severity
입니다. severity의 종류는 아래의 표를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제가 test 코드를 시그니처만 작성하고 안의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 해당 이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심각성 이외의 다른 지표의 기준들이 나와있습니다.
이슈 클릭 시

Where is th issue
와Why is this an issue
를 통해 이슈의 위치와 이슈의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Code

- Code에 들어가면 폴더 구조에 해당하는 코드의 LOC, Bugs, Code Smells 등등 다양한 지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