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롱이들의 질문 List🔥
- 요번 과제에 관해 간단히 얘기
- 영현님
- 요구사항 자체는 쉬웠음. 추가 구현이 생각할게 조금 있었음.
- 재현님
- 요구사항 쉬웠음. 추가 구현이 쪼오금 난이도
- TS가 조금 어렵다. 어떻게 작성할지 모르겠다.
- 승현님
- 요구사항 쉬웠음.
- 종혁님
- 다른분들하고 비슷한데 어려웠던 거는 타입스크립트가 쪼금.. 어려웠음.
- 상태 관리 로직을 어디에서 하는게 좋을까? 컴포넌트? State?
- 재현: 다른 컴포넌트 입장에서 이 데이터 어디서 어떻게 바뀌는지 모를 수 있으니
- 영현: 상태가많아질 수 있다. 스토어라서,, 상태 초기화하던가 동작을 함수로 만든다 하면 상태가 늘어날수록 하나씩 제작해야하니까 불필요한.. 작업 어차피 이렇게 대입하는것도 안티패턴이 아닌데 굳이 함수를 만들어야하나 스토어 전체를 비워줘야한다. 이런 함수는 하나 정도 있으면 좋겠다.
- 승현: 프로젝트가 작아서 그런지 스토어쪽에다가 다 패치함수를 호출하는 순간에 데이터 받으면 던져지는 식으로.. 다른분들 보니까 사용하는 컴포넌트 쪽에서도 초기화 해주는 것도 있고 상태를 관리해주는 것도 있어서.. 스토어쪽에서만 집중하면 안될거 같다. 재현님 저렇게 한거 보고 바꿔봐야겠다.
- 종혁: 저 과정을 컴포넌트 쪽에서 했었는데 movie의 서치라는걸 업데이트가되면 컴포넌트가 재렌더링 되면 업데이트되는 과정이니까 fetch함수 실행했을 때 어
멘토님의 답변🍀
- 얘기보면 좋을 것들
- https://github.com/prgrms-fe-devcourse/FEDC5-11_Vue/pull/10/files#r1419947891
- https://github.com/prgrms-fe-devcourse/FEDC5-11_Vue/pull/24#discussion_r1415738270
- https://github.com/prgrms-fe-devcourse/FEDC5-11_Vue/pull/24#discussion_r1419932154
- https://github.com/prgrms-fe-devcourse/FEDC5-11_Vue/pull/24#discussion_r1419931649
- TS
- TS는 API의 문서화를 코드로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함.
- 추가적으로 단순히 Response를 작성하는 것 이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
- 지금 프로젝트의 예로 들면 MovieList, MovieById 와 같은 API가 있다.
- 여기서 Movie의 Response는 실제로도 다르다. 정확히는 MovieList는 MovieById의 간략화된 정보만 내려준다.
- 하고싶은 얘기는 두 API모두 Movie라는 table에서 가져올거라 동일한 인터페이스다.
- 그래서 타입스크립트로 interface Movie라는 걸 작성할 수 있다.
- 이 Movie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MovieList, Movie의 인터페이스를 작성할 수 있다.
- 단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드의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하지 않을 경우 네이밍이 변경되거나 제거될 때 누락될 수 있다. 이런 걸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타입을 데이터베이스처럼 관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