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ription ]
- 라이딩 유저의 jwt 토큰 테스트
[ Request Header ]
- jwtToken
[ Responses ]
- 200 OK
- userId : Number
- isRegistered : boolean
- accessToken : String
- 400 Bad Request
- 401 UNATHORIZATION ( jwt 기간 만료)
- 403 FORBIDDEN ( access token 없이 요청했을 때)
[궁금증]
- header에 넣어주는 Token은 새로발급한 토큰이고, response에 오는 Token은 요청한 토큰인데, response 넣어주는 Token은 어떤용도로 보내주는지? 단순 비교용도? client에서도 token 정보 가지고는 있어서 다른용도가 있나요?
- 이렇게 교체하는 방식은 실제로 다른 곳에서도 쓰이는 방식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