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22 (월)
- 가벼운 네트워킹 자리를 가졌습니다
- 금주 금요일까지 구체적인 스토리보드나 아이디어를 정리해서 금요일에 정하기로함
2021/11/26 (금)
팀결성(서기: 김지훈)
- 인사합시다!
- 팀원 간의 마인드를 파악하기
- 팀장이 있기로 결정했다면 생각해볼 수 있는 팀장 기준(예시) 과 앞으로 팀장(PO)가 해야할 일 생각해보기
- 프론트 팀장 : 김희진
- 백엔드 팀장 : 서영범
프로젝트 이해하기
- 프로젝트의 이름(한국어명, 영문명)
- 데이즈, DAYZ (내 손안의 클래스 데이즈, DAYZ)
- 프로젝트에 대해 정의하기
- 프로젝트 목적 : 원데이 클래스 웹서비스를 만든다.
- 기능 명세 :
팀 규칙
- 매일 2시에 모여서 스크럼을 진행한다.
- 기본 소통은 슬랙으로 한다.
- 논의가 필요 할 경우 게더로 집합
프로젝트 준비 과정
- Github 세팅
- Front와 Back 각자 repository 생성
- Repository name은
Team_팀명_프로젝트명
으로 통일 (Team_DAYZ_BE, Team_DAYZ_FE) - Git Flow 전략 사용
- AWS 세팅
- EC2는 지원을 해줌
- S3는 N분의1 한다.
- RDB는 비싸다고... → 많이 비싸면 그냥 EC2에 DB깔아서 한다.
- 이슈관리
- 깃 + 노션 (O)
- 지라?
- 작업 방식에 대한 의사결정
- Front, Backend 별로 각자 정해서 11/29(첫 교육장 집합날)에 공유한다.
- 기술적인 의사결정
- Front, Backend 별로 각자 정해서 11/29(첫 교육장 집합날)에 공유한다.
다음 계획
- 월요일까지 각 파트별로 논의할 사항을 논의하고 모여서 공유한다.
- API 리스트와 화면 플로우 병합 및 점검 날짜를 월요일날 정한다.
- 배포방식을 어떻게 할지 월요일날 결정한다.
2021/11/29 (월)
서기 : Pawn(김지훈)
어제 한 일 공유
Back-end
- 백엔드 담당자분들끼리 프로젝트 개요에 대해 따로 이야기를 해봤다.
- 공방에 초점을 맞춰서 생각을 해봤다.
- 우리 프로젝트는 SNS처럼 공방을 홍보할 수 있다는 점. (큰 차별점으로 가져가야한다.)
- 논의해야할 내용 이야기 하기
- 최초 로그인시 관심 지역 입력받는 형식으로
- 카테고리 선택 시 관심지역을 기반으로 클래스 보여주기
- 상세페이지 - 공방 정보, 별점 추가하기
Front-end
- github 정리 (기술 스택, 깃 관리 방법 등 )
- 피그마(디자인) 작업
오늘 할 일
Back-end
- 데이터베이스 설계
- API 문서 초기 작업 진행
Front-end :
- 디자인 작업 하기
- 백엔드 내용 취합
- 라우트 페이지 나누기
API 맞출 날짜 정하기
- 수요일 저녁
Must-Have, Should-Have, Could-Have, Won't-Have

미룰 내용
- 원데이클래스 수정
- 반복날짜계산
2021/12/1(수)
회원가입 → 카카오만
- 카테고리는 이모지
- 지역정보는 서버에서 리스트로 내려줌 (서울 구)
- 원데이클래스 이미지 여러개 중 썸네일은 무엇?(등록 이미지중 첫번째)
- 프로필변경시 일반유저만 (이름,프로필 사진만)
- 피드의 댓글이 처음에는 안보이고 더보기로 댓글을뺌
2021/12/6(월)
- 프론트
- 마크업 끝냄
- 거기에 들어갈 컴포넌트나 기능 구현할 예정(통신하기 전까지의 기능)
- 리팩토링
- 백엔드
- s3 업로드 테스트
- 배포 테스트
- oauth 로그인 적용 테스트
- 주소처리 방법→ 데이터 베이스에 넣는 방식으로 정했다
- 이슈등록, API 문서 정리
2021/12/08(수)
- 프론트
- API 호출 관련 작업중
- 스타일링 개선중
- 컴포넌트 작업중
- 라우터 처리 작업중
- 금일 내로 배포 예정 (링크)
- API 작업 되는대로 적용 해볼 예정
- 백엔드
- 후기 관련 프론트와 데이터 협의 (연수)
- API 작업 진행중
- 작업 완료되는대로 업로드 예정
- CI/CD 관련 수정필요
- 프론트에서 이미지 업로드마다 API 호출하여 업로드로 협의 완료
- 카카오 로그인 방법
- 일반유저와 공방유저는 중복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 일반유저와 공방유저의 카카오 계정은 1개이다.
- 일반유저로 가입시 바로 가입이 이루어짐다.
- 공방유저로 가입시 일반유저로 가입 후 공방 정보를 추가한다.
- 공방유저는 일반유저의 상위 개념이다.
- 공방유저는 일반유저로 전환이 가능하다.
- 일반유저는 공방유저로 전환이 불가능하다. → 로그인화면에서 새로 가입해야함
- 이미 가입한 일반유저가 공방유저로 가입하고 싶으면 로그인화면에서 "공방유저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 공방등록 화면 → 공방 등록 시 공방회원으로 전환
- 이미 가입한 일반유저가 공방유저로 회원가입 시 공방등록 페이지로 바로 이동시키고 공방정보가 등록되면 공방유저로 전환된다.
- 권한은 복수가 아니라 1개로 한다.
- ROLE-USER (일반유저)
- ROLE_ATELIER ( 일반유저, 공방유저 )
- 공방유저가 일반유저의 UI를 보고 싶을 경우 → 마이페이지의 토글버튼을 통해 UI 전환이 가능하다.
- 일반유저는 마이페이지에 토글 버튼이 없다.
- 일반유저는 Default UI 가 일반유저 UI로 한다.
- 공방유저는 Default UI 가 공방유저 UI로 한다.
→ 그러면 백엔드에서는 일반유저의 권한을 공방유저로 바꿔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