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yper Text Markup Language
Hyper Text는 참조(하이퍼링크)를 통해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를 말합니다. Markup Language는 이것은 제목이다, 이것은 테이블이다, 문단이다와 같은 문서의 구조를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HTML은 웹을 만들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언어입니다.

하지만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닙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게 주어지는 처리방법과 순서를 정해주는 명령문을 작성하는 언어
- 마크업 언어
: 구조를 정하는 언어
즉, HTML은 웹의 뼈대에 해당합니다.

2. 메모장이나 크롬에서 바로 작성하는 예제
메모장에서 아래 코드를 입력한 뒤,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해 확장자를
.txt
대신 .html
로 바꿔서 저장하면 됩니다.Mac OS의 경우에는 "텍스트 편집기"에서 "포맷"란에 들어가 "일반 텍스트 만들기"에서 코드를 작성하신 후 확장자를
.html
로 변경하시면 됩니다.보다 상세한 내용은 하단에 캡쳐해 두었습니다.
결과창은 이와 같이 나옵니다.

2.1. Window 사용시


메모장을 실행하시고 위와 같이 타이핑을 치신 후
파일
>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아래처럼
파일 이름
은 test.html
, 파일 형식
은 모든 파일
, 인코딩
은 utf-8
으로 바꾸신 후 저장을 눌러주세요.
저장된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키시면 아래와 같이 실행됩니다.

2.2. 맥북 사용 시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아래 2가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2개 모두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텍스트 파일로 저장 후 확장자 변경
- html로 저장(Version에 따라 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러분들 컴퓨터에서
텍스트 편집기
를 찾아 클릭해주세요.
새로운 문서를 클릭해주시고 아래와 같이 문서를 작성해주세요.


가장 먼저 텍스트로 저장 한 후 확장자를 바꾸는 방법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작성 한 후
포멧
> 일반 텍스트 만들기
를 클릭해주세요.
아래와 같은 알림창이 뜬다면 확인을 눌러주세요.

확인을 눌러주시고 원하시는 이름으로 저장한 다음 아래처럼 확장자를(
원하시는_이름.html
) 변경해주시면 변경하시겠냐는 경고창이 하나 뜹니다. .html사용
버튼을 눌러주시고 변경된 파일을 더블클릭 해주시면 웹 브라우저에서 열립니다.


이 방법이 어려우시다면 아래처럼 텍스트로 변환하지 않고 저장할 때
.html
형식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세요.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3번째에 있죠? 저장하시고 더블 클릭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