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드설정
- 석현(CRA)
- CRA가 오래돼서 비교적 대중화되어있다.
- 현진(vite)
- 경험이 있다.
- 지호(vite)
- 속도에 이점이 있다.
- 수혁(vite)
- 내부 동작 미리 캐시한다.
- 속도에 이점이 있다.
- 호민 (vite)
- 필요없는 라이브러리 설치 안됐으면 좋겠다.
⇒추후에 swc에 대한 각자 의견 찾아보기
패키지 설정
- npm
- 경험이 있다.
- 대중화되어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있다.
- 지원하는 기능이 많다.
⇒npm과 pnpm 차이 알아보기
스타일링
- 석현 (styled-component)
- 큰 고민이 필요없다.
- css의 본질에 변화가 없다.
- 다른 스타일링은 경험이 있기 떄문에 학습을 위해 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 수혁(tailwind)
- 컴포넌트 분리에 용이하다.
- 중복 문제가 발생하지만 scss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추상화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 지호(scss)
- 인라인 가독성 낮아지다.
- 재사용 효율이 낮다.
- scss
- 강의가 있다.
- 재사용면에서 유리하다
- 별도의 파일로 관리가 가능하다.
- 한번 의견을 통합하면 그 이후 수월할 수 있다.
- 단점:
- 파일 분리에 대한 분기점 의견 통합이 별도로 필요하다.
- 커뮤니티 활성화가 비교적 덜 되어있다.
- 현진(styled-component)
- 많이 써봐서 이모션굿 블로그 성능 저하
- scss 해봤을때 오 편하다. scss 를 그냥 해볼까.
- 컴포넌트 별로 만들어 놓으면 편하다.!
- 테일윈드 이해하기 어렵다.
- 호민
- scss의 단점 :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변수명과 같은 규칙을 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 코드의 일관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별도의 파일 관리가 통일시키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 tailwind: 장점은 컴포넌트내에서 인라인으로 작성해서 코드의 혼동이 없을 수 있겠지만 styled-component로 하면 더 재사용 측면에서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 props에 따라서 스타일을 변경할 수 있다.
- stylecomponent도 nesting이 된다.
⇒추후에 scss와 styled-component 조사할 것
상태관리
- 석현 (Context API)
- 프로젝트 규모가 작기 떄문에 redux와 같은 무거운 설치가 필요없다.
- 지호(Context API)
- redux 상태관리가 어렵다.
- recoil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생각함
- zustand에 메리트를 못 느낌
- 수혁
- Context API보단 recoil
- redux를 학습과 취업에 유리
- 호민
- recoil 사용하기 편하지만 오류가 발생했을 떄 해결이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redux toolkit 장점:
- 비교적 보일러 플레이트가 낮다.
- 짜여진 틀이 있다는 것이 오류를 발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 현진
- 취업을 위해 리덕스
⇒추후에 redux toolkit & Context API
네트워크
- axios
- 장점: 서버리스
⇒추후에 axios 사용 이유 조사
배포
⇒추후에 Vecel 사용 이유 조사
커밋 컨벤션 스타일
⇒추후에 선정
github 관리
⇒Git Flow vs Github Flow (+충돌에 대한 방안 마련)
추후에 할것
프로젝트 기간 마감 일주일 전에 디버깅 및 마무리 기간으로 남기기
- swc 다시 알아보기.
- npm, pnpm 서버 같냐? 즉 다운로드 패키지 같냐? 알아보기
- scss vs css in js 알아보기
- 리덕스 툴킷 vs 컨텍스트 api 알아보기
- fetch vs axios 알아보기
- 배포 , vercel vs aws 알아보기
- git commit 컨벤션 알아보기
- git flow vs github flow 찾아보기, 충돌 해결방법 찾아보기
- 마지막 주 qa 추가해보자.
- 주제 찾아보자.
API 나오면 할 일
- Vercel , Axios 세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