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에 의도에 맞게 대답 - 검정
- 의도와 조금 다르거나 부족함 - 노랑
- 대답을 잘 하지 못함 - 빨강
주제1.
- 본인이 생각하는 소통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
- 소통을 하는 목적이 서로 공유가 되었는가
- 목적이 다르면 주제에 벗어나는 말들을 하게 됨
- 소통을 솔직하게 하는가
- 본인은 눈치를 많이 봄 → 일방적으로 상대방에게 맞춤
- 결과적으로 나중엔 생산적, 결과 측면에서 떨어지는 것을 체감
피드백
- 원래 생각을 난 했다..
- 들으면서 오~ 그렇지 맞지 했습니다.
- 자기소개에 썼던 부분이랑 일치했습니다.(same)
의도적 뜸들이기
- 읽었던 책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책과 부분은?
- 코어 자바스크립트
- 실행 컨텍스트 개념을 이해
- 책을 읽게 된 계기 → 실제 JS의 동작과정을 몰랐기 때문에 자세히 알고 싶어서
- 자기소개랑 똑같았어요
피드백
- 원래는 클로저
- 클로저는 불안해서 실행컨텍스트를 말했다.
의도적 뜸들이기
- 실행 컨텍스트의 동작과정
- 함수 호출 시 해당하는 함수에 필요한 정보들을 객체 형식으로 생성되는 것
- 실행 컨텍스트 내에는
- 함수의 스코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 객체
- 외부에 있는 함수에 접근할 수 있는 스코프 객체
- 해당 스코프 안에서 this…
-
피드백
- 공부하면 될 것 같아욤
- 당황 X 100
의도적 뜸들이기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가장 만족한 부분과 이유(아무 프로젝트)
- RG
- 인증/인가 유저 쪽 담당
- 처음부터 끝까지 담당한 것이 만족
- 하나의 기능을 온전히 담당, 고민을 많이 했다
- JWT는 어떻게 관리하는지, 로그인 유지, 인가 관련 처리
- 서버쪽과의 협업이 필요한 부분
-
피드백
- 그렇지 않았다면 만족하지 못했을 것인가요?
- 같은 질문을 받았을 때 ,, → 고민
기술/인성
- 기능
- 내가 잘 알고 대답할 수 잇는..
- 인성
- 오히려
기술
- 기술을 탄탄히 준비해서 질문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자
의도적 뜸들이기
- 인증/인가 처리를 어떻게 했나요
- 처음에 access토큰 + localstorage사용해서 구현
- customRoute
- 리팩토링 시
- localStorage활용 → 보안에 위험
- access토큰을 전역 상태로 보관하고 refresh토큰을 쿠키로 받아서 저장
- refresh에는 사용자 정보가 담겨있지 않아?요..?(제가 잘 모르겠어염)
피드백
- 리팩토링 안했어요
- refresh 토큰에 어떤 정보가 담겨있을까요?
- refresh 링크
의도적 뜸들이기
- 퀴즈 생성 페이지의 form 처리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하셨는데 어떤 어려움이었고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 Form처리
- 제어/비제어 컴포넌트 방식
- 둘의 차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함
- 비제어로 설계 ⇒ validation 처리 이슈 ⇒ 제어 컴포넌트로 변경
피드백
- 전 좋았어요
의도적 뜸들이기
- 제어/비제어 컴포넌트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차이
- 해당 폼의 value를 어디서 관리하는지의 차이
- 제어 - react의 state → state가 변할 때마다 특정 액션을 취함
- 비제어 - input 자체의 value 활용 ⇒
useRef
피드백
- GOOD
의도적 뜸들이기
- 같이 일하는 사람 중 너무 안맞는 사람이 있으면 어떻게 대처하나요.
- 너무 안맞는 사람 → 소통을 함에 있어 문제가 있을 경우
- (언제까지 해오겠다)→ 팀 전체적으로 일정에 딜레이
- 1:1 미팅을 통해 얘기
피드백
- 개발적으로 안맞는 경우..?
- 소통 똑같이.. 대화를 시도
- 상사의 코드가 아니라고 생각할 때
창민
아니라고 말하고 반응이 격렬하면 .. 참는다.
의도적 뜸들이기
- 본인이 생각하는 클린코드란 무엇인지, 클린코드를 어떤 식으로 적용하였는지
- 클린코드 책
- 잘 짠 코드는 한 권의 책(문장)을 읽는 것과 같다.
- 잘 읽히고 코드를 보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
- 시도
- 1 - 핵심 로직과 세부 로직을 분리
- 2- 하나의 함수는 하나의 역할
피드백
- good
전체적인 피드백
직관성 - 무슨 말을 하려는지 빠르게 이해(good), 말하려는 바를 꼬리질문을 통해 이해 (bad)
구체성 - 묻는 개념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good), 묻는 개념의 일부만을 이야기함 (bad)
정확성 - 올바른 개념에 대해 이야기 (good), 잘못된 정보, 여러 개념을 혼합하여 이야기함 (bad)
태도 및 자세 - 말하는 속도, 강약조절, 자신감, 몸짓의 변화가 적절하다 (g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