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개요스프린트 시작 전 프로젝트 오너가 진행1. 비전2. 로드맵3. 프로덕트 백로그4. 릴리즈 플래닝스프린트 진행1. 스프린트 플래닝2. 스프린트 백로그3. 데일리 스크럼4. 결과물5. 리뷰 & 회고
전체 개요

스프린트 시작 전 프로젝트 오너가 진행
1. 비전
비전이 왜 필요할까?

비전은 어떻게 세울까?


2. 로드맵
로드맵 예시

OKR


3. 프로덕트 백로그
프로덕트 백로그 잘못된 예시

-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해야한다.
- 너무 두루뭉실하게 되어있다.


프로덕트 백로그의 주인은 프로젝트오너
혼자할때

유저 스토리





유저 스토리 워크샵


플래닝 포커
작업을 완료하는데 시간 설정법
플래닝 포커 하는 법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야 한다.(여유있게 잡아야한다)
타임박스
시간을 박스 포장하듯 묶어서(분절해서) 그 시간을 활용하자
한 블럭을 잘 사용하자.
스프린트 단위와 플래닝 포커가 타임박스 개념을 가져가서 사용한것이다.
타임박스 활용법


4. 릴리즈 플래닝
릴리즈 플래닝



오른쪽 기다란 바는 스프린트 전체 기간
완충장치는 시작하면 집중하는데 들어가는 시간이다. 혹시 모르는 상황을 위한 대비를 위한 완충 시간이다.
스프린트 진행
스프린트 란

스프린트 개요


스프린트 구성 예시
1주(5일) 구성일 경우
첫째날 : 스프린트 플래닝을 2시간(전체 근무 시간의 5% 정도로 구성을 한다)정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스프린트 백로그가 나온다.
두째날 ~ 넷째날 : 데일리 스크럼을 한다.(최대 15분) 중간쯔음 프로덕트 백로그 다듬기 미팅(최소 한번)을 한다.
다섯째 날 : 퇴근직전에 리뷰와 회고를 한다. (리뷰 회고 합쳐서 전체 근무 시간의 5% 정도 구성을 한다.)
2주 (10일) 구성일 경우
첫째날 : 스프린트 플래닝을 4시간(전체 근무 시간의 5% 정도로 구성을 한다)정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스프린트 백로그가 나온다.
두째날 ~ 아홉째날 : 데일리 스크럼을 한다. 중간쯔음 프로덕트 백로그 다듬기 미팅(최소 한번)을 한다.
열째 날 : 퇴근직전에 리뷰와 회고를 한다.
얼마든지 15일 30일 구성 가능하다.
1. 스프린트 플래닝
전체 근무 시간의 5% 정도로 구성을 한다
스프린트 플래닝 진행방법

2. 스프린트 백로그
스프린트 백로그의 주인은 개발자팀 혹은 개발자들이다.
스프린트 플래닝을 하면서 만들어진결과물이 스프린트 백로그이고 화이트보드나 게시판에 게시를 한다.
새로운 계획이 추가되면 안된다. 그러나 개발자들이 계획을 수정하는것은 가능하다.
3. 데일리 스크럼
업무직전에 같은장소에서 하고, 최대 15분으로 진행한다.
프로덕트 백로그 다듬기
프로덕트 오너가 아이템을 어떻게 해결할걸지 확인한다.
개발자가 어떻게 진행할지 공유 및 계획 수정을 한다.
칸반 가시화

예시


온라인 툴




4. 결과물
5. 리뷰 & 회고
리뷰 회고 합쳐서 전체 근무 시간의 5% 정도 구성을 한다.
리뷰

회고


플러스가 혹은 마이너스가 됐던 요인들 , 좋은 의미든 나쁜의미든 흥미로웠던 일들

- Linked - 팀원들과 작업하며 좋았던 점
- Learned - 팀원들과 함께 작업하며 배운 점
- Laked - 아쉬웠던 점
- Longed for - 이랬으면 참 좋았겠다

- 강사님 강의에 도움이 됐던 책 : 성공적인 애자일 도입을 위한 에센셜 스크럼

절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