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제이슨'이라고 읽습니다. Javascript에서 객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표현식으로 Javascript의 구문 형식을 따르는 언어 독립형 데이터 포맷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도 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현재는 서비스를 중단한 라이브코로나(https://livecorona.co.kr/)의 캡처화면입니다. 잠깐 살펴볼까요?

여기서 모든 데이터는 JSON 형식으로 관리됩니다. 지도에 뿌려진 국내 현황 데이터를 확인해 볼까요? 아래는 2020년 10월의 데이터입니다.

2020년 10월 코로나 데이터에서 볼 수 있듯이 JSON은 Key(키)와 Value(값)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데이터에서의 Key는 "지역이름", "확진자수", "격리해제수", "사망자수", "십만명당발생율",지역별확진자비율"이고, Value는 그에 해당하는 "전국", 24889 등의 값입니다. Key를 값의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좀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그럼 JSON 형식의 데이터들은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보통 Key를 통해 Value를 가져와 사용합니다. 간단한 예제로 알아봅시다.
var data = [ { "name": "라이캣", "age" : "10", "language": "Python" }, { "name": "빙키", "age": "모름", "language": "Javascript" }, ]; console.log(data[0]); console.log(data[0]['name']); console.log(data[1]['name']);
아래 결과처럼 키를 사용하여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결과 {name: "라이캣", age: "10", language: "Python"} 라이캣 빙키
이러한 데이터를 전달해 주는 서버를 별도로 구축하면 그 서버를 API Server라고 부릅니다. 물론 API Server는 JSON만을 Serving하지 않고 여러 가지 데이터를 한 번에 Serving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API Server는 다음 챕터에서 살펴볼 예정이니 용어만 기억하고 넘어가도록 합시다.
아래 홈페이지에서 테스트용 JSON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