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주제
비상연락망 연락처 기입 (전원 또는 팀장만)
협업
- Github
JIRA
- 스크럼 마스터 선정 (필요시)
자료 제출 담당자 선정 (7/21(목) 오후 18시까지, 스레드로 남기기): 에밀리
공동회의실: tovalds / 프론트엔드: tovalds / 백엔드: turing
아이디어 회의: 브레인 스토밍
- 아이디어의 참신성, 적합성, 규모, 구현 가능성에 대한 종합적 고려 필요
8/17 이후, 프로젝트 관리 계획 (기능 추가, 리팩터링 등)
- 프론트는 4주 동안 기능 개발에 거의 초점. 향후 리팩터링 고려 (렌더링 최적화 등)
- 리팩터링은 개별적으로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백엔드는 MVP 기능 구현 후 리팩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 (안 하면 쌓인다)
멘토(선배 개발자)와의 소통일지
개발 서버 / 운영 서버 (유저에게 서비스하는 운영 서버를 따로 두고 싶은지!)
프론트: 크게 상관은 없다. 추후 논의할지도
프로젝트 명, 팀명 정하기
- 팀명:
BackFro
아이디어 구체화
회식
회의 내용 및 결과
프론트엔드 아이디어 리스트
1. 티끌 모아 선물 🎁
“자신이 받고 싶은 선물을 친구들에게 알리고, 펀딩을 받는 서비스”
💡 기획 배경 및 동기
- 생일에 받고 싶은 선물이 있었지만, 값이 비싸서 말을 꺼내기 어려웠던 적이 있다. 자신이 받고 싶은 선물을 가족, 친구, 지인들에게 알리고, 펀딩을 받는 서비스가 있다면 어떨까? 선물을 받는 사람은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선물을 받을 수 있고, 주는 사람도 어떤 선물을 줄 지 고민하지 않아도 되니 좋을 것이다.
- 한국과는 달리, 프랑스에서는 선물을 받고 싶은 사람이 선물 리스트를 직접 작성하는 문화가 있다. 이것을 서비스로 만들어보면 어떨까? 자신이 받고 싶은 선물 리스트를 만들어 친구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면 좋을 것 같다. 선물을 받으면, 리스트에서 해당 선물은 완료 처리된다. 그러면 같은 선물을 받는 불상사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 주요 기능
- 자신이 받고 싶은 선물을 친구들에게 알리고, 펀딩 형태로 모금을 받는 기능 (핵심)
- 마감 일자, 목표액을 명시
- 모금액 결제: 결제 open API 활용(카카오페이, 부트페이 등)
- 펀딩에 참여하거나 선물을 준 사람은, 카드 형태로 메시지(축하 인사 등)을 남길 수 있다.
결제된 모금액은 관리자가 임시 관리한다.
모금액이 채워지면 관리자가 직접 상품을 주문하여 전달해준다.
- 자신이 받고 싶은 선물 리스트를 친구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비싼 것이 아니더라도)
선물을 받으면, 리스트에서 해당 선물은 완료 처리된다.
✏️ 부가 기능
- 선물 검색 기능: 자신이 받고 싶은 선물을 검색할 수 있다.
- 상품 정보 open API 활용: 11번가, 쿠팡 등
- 또는 해당 상품의 쇼핑몰 url을 입력 받는다.
- SNS 기능: 좋아요, 댓글, 팔로잉
- 사용자 검색 기능
- 로그인, 회원가입 기능
🍉 기타
- 목표 금액 미 달성 시: 차액 결제 또는 모금 액 만큼 현금으로 받을 수 있다.
- 모바일 형태의 서비스가 적합하다고 생각.
- 펀딩 절차에 대한 소개도 있으면 좋을 것 같다.
- 가족, 친구, 지인 외에도 범위를 넓혀보면 어떨까?
- 연예인, 스트리머 등 유명인 에게 보내고 싶은 선물 펀딩 하기 (조공)
강점 💪
- 아이디어의 참신함
- 프론트 난이도 굿
- 백 난이도 굿
- 활용가능 open api 굿
- 이름이 미쳤다
- 도메인 굿
- sns 홍보 굿
우려되는 점 🥶 🫠
- 비슷한 사이트(https://presenu.com/) 있음
- 결제 api 활용의 불확실성 → 그래서 더욱 해보고 싶음
- 돈 왔다갔다 힘들어ㅜㅜ 울지마요^^
2. 유기견 봉사 및 후원 🐾
💡 기획 배경 및 동기
- 유기견센터에서 산책봉사를 하고 싶었는데, 모집 일정 확인이 힘들어 예약하기가 힘들었다.
- 유기견 센터에 후원할 때 후원금을 투명하게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싶다.
🔎 주요 기능
유기견 센터에서 봉사 모집 등록 (핵심)
- 유기견 센터 조회
- 유기견 센터에서 원하는 후원 물품 등록
- 유기견 센터 위시리스트
- 유기견 센터 새 글 알림
- 봉사 신청
기타
- [유기동물 보호시설 현황 API](https://data.gg.go.kr/portal/data/service/selectServicePage.do?page=1&sortColumn=&sortDirection=&infId=IFCTHC90596EV59Q861V1622341&infSeq=3&searchWord=유기동물+보호시설+현황)
3. 가족단위 일정관리 플랫폼 👨👩👧👦
- 가족들의 일정과 계획을 볼 수 있음 ⇒ 비동기 소통 가능
ex) OO님의 공지사항📢
- 오늘 야근합니다
- 저녁 먹고가요
- 가사 분담 / 부탁
- 가족 공통 캘린더 사용 ⇒ 중요 일정 공유 가능(병원 예약, 시험 일정 등)
- 투표 기능 제공(외식, 등산, 여행 등 일정이나 식사 메뉴 등 정할 때 사용 가능)
- 꼭 가족이 아니더라도 같이 사는 사람(쉐어하우스 / 동거)들과 함께 사용 가능
- 카카오톡 공동 캘린더 기능
- 약간 겹치는 부분이 있다. 톡 비서 죠르디
- 차별성을 고민해야 함
- 동시성 - 웹소켓, 폴링
- 구글 캘린더, 아이폰 캘린더와 연동하기
강점 💪
- 난이도 굿
- 웹 소켓 설렌다😍 재밋겟다😆
- 방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로 확장 굿
우려되는 점 🥶
- 프론트 측 난이도가 낮은거 같다
4. 환경과 건강을 생각하는 플로깅 🗑🏃🏻♀️
💡 기획 배경 및 동기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운동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어서 이 둘을 잡기 위한 방법인 플로깅 이라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음. 그러나 아직 흔한 취미생활은 아니기 때문에 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플로깅 을 진흥시킬 수 있다.
🔎 주요 기능
- 쓰레기통 API 를 이용하여 쓰레기 통의 위치를 이용하여 조깅, 산책 코스를 잡아주기 공공api ⇒ 현재는 수도권 일부 장소만 지원, 나머지 지역의 경우 지원 중인 기능으로 빼두기 네이버 지도 API 사용 가능 (관련 api 를 사용한 사례)
-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쓰레기통 위치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우회하기?
- 지도에 쓰레기통 위치를 보여주기
- 쓰레기 주운 인증 사진, 장소 사진 공유 가능 (소셜 공유 가능)
- 팔로우, 팔로잉 기능
부가 기능
- 앱 내부에서 게시판을 지원하여 게시판에 피드처럼 최신의 공유 내역 (공개로 한 경우)을 보여줌.
- 소모임, 크루 이어주기 크루 내의 게시판 존재
기타
- 위치기반 쿼리를 지원하는 MongoDB나 PostgreSQL을 사용할 수도..?
강점 💪
- 메가 트렌드 -
환경
- 사회 문제에 기여 가능
- 모바일만 해도 되나요
- 다양한 기능으로 확장 가능
- 어플이 아니라 우려된다
- 산책 경로 저장 - 백에서 도전과제가 될듯
- 소셜 기능은 난이도 쉬움 + 지도는 도전적이지만 흥미로워
우려되는 점 🥶
- 백그라운드 전환 시 위치 정보 수집이 잘 되나..?
- open api 확실히 확인해봐야함
백엔드 아이디어 리스트
5. 내가 본 전시 기록하기 🖼
💡 기획 배경 및 동기
- 전시를 보고나면 그 때의 감상/기분 등을 오래 기억하고 싶지만 어디엔가 기록해두지 않으면 금방 잊어버리기 쉽다. 블로그에 기록하는 등 기록해두고 오래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만 귀찮아서 하기 힘들다. 전시에 대한 감상평, 인상깊었던 작품 등을 간단하게 기록하고 그동안의 히스토리를 모아볼 수 있는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다.
- 동네 작은 갤러리의 경우는 홍보도 어렵지만(= 전시 정보 찾기 어려움) 전시에 대한 후기를 볼 수 있는 곳이 적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관람객들의 전시 후기를 짧게나마 공유하며 전시회 정보를 공유하면 ‘동네의 작은 갤러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 주요 기능
- 전시 관람 후 감상평을 기록할 수 있다.
- (티켓 사진, 전시장 사진, 작품 사진 등)
- SNS 기능: 댓글, 좋아요, 팔로우
- 전시 정보 조회 서비스
- 검색 기능: 제목, 날짜, 장소/지역/주변, 키워드, 가격 등
- 조회 기능: 전시 관련 데이터 조회
- 오픈 API 활용 (한국문화정보원_공연전시정보조회서비스)
- 리마인더 기능 :
✏️ 부가 기능
- 관심 설정한 아티스트의 전시 정보 알림
- 작가 계정으로 만들면 전시 정보 홍보 가능
-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전시 정보 추가 가능
- 오디오 가이드 등록 기능 (오디오 가이드가 없는 소규모 전시의 경우)
- DM 기능
- 리마인더 기능
🔗 유사 서비스
- 아트맵 - 취향 기반 전시회, 작품 큐레이션 플랫폼 ⇒ 단순히 ‘좋아요' 기능처럼 관람한 전시를 표시해줌. 전시 정보 제공
- PL@Y 2 - 티켓북 + 포토캘린더 (플앱2) ⇒ 공연 티켓 등록, 후기, 평점 등 등록 가능 (공연 영상 월정액 감상 서비스의 프리퓨 앱)
- 위의 플앱2와 비슷한 공연 티켓북 서비스는 다수 존재
강점 💪
- 프론트 백 둘 다 구현할 게 많다
- 기능 확장 범위가 넓을듯
우려되는 점 🥶
기타 아이템
동네주민끼리 책 대여하기
(대충봤을 때 비슷한거 못찾긴 했는데 있을 것 같은 서비스)
6. (여행) 동행 서비스(웹) ✈️
- (콘서트 같이 갈 사람)
- 해외 여행 시 특정 코스만 같이 갈 사람
주요 기능
- 특정 코스를 같이 갈 사람을 구하는 기능 (게시글 올리기 - 위치 .. ) - 컨택
- 채팅
7. 해주세요(심부름 앱) 🙏
- 분류가 너무 많다 → 음식 배달, 과외, 역할 대행 …
- 부탁하는 사람 (돈 주고) / 부탁 들어주는 사람 (심부름 해주는 사람) (돈 받고)
- 심부름 비: 선결제(어플 내부 결제) / 후결제(현금)
8. 내가 출제 위원 ✏️
- 전공 공부
- 교양 공부
- 자격증 공부
- 면접 질문
- 문제집 만들기 / 풀기 - 제한 시간 내에 객관식 문제집 풀기 (시험)
- 주관식 채점
- 공동
- 전문가 초빙 - 비즈니스 모델 생각 가능할듯
9. 이력서 첨삭 플랫폼 📄
- 현직자와 취준생을 매칭하여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첨삭을 해줄 수 있도록 지원
- 이번에 캡디(캡스톤디자인 - 졸업작품)에 이거 한 팀이 있으니
첩보
가능
- 인증된 현직자에게 리워드를 준다
- 현직자 인증 이슈
- 리워드 이슈
도메인
- IT로 좁혀도,, 안좁혀도,,? 어떻게든 되겟지! 찬찬히 넓혀가보는 것도,,!
프로젝트 얻어가고 싶은 목표
에밀리
- 기능 추가보다 리팩토링, 코드 유지보수성, 성능 개선에 집중하고 싶다.
- 배포 이후 이슈 해결 경험 해보고 싶다.
공공
- 프로젝트 종료 이후 리팩토링하고 싶다.
- 4주 동안은 기능 구현
- 케이, 혜삐 동의
빈푸
- Must 아이템 구현 이후 리팩토링 적용해보고 싶다.
- 소켓 적용한 채팅 기능하고 싶다.
- 문서화(기술 문서 등)을 잘해보고 싶다.
제리
- 리팩토링은 프론트쪽과 큰 영향이 없을 것 같다.
- 중간중간에 리팩토링을 진행을 하면서 추가 기능 구현하면 좋을 것 같다.
- 추가 기능의 규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