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가 소수를 저장하는 방법
- 0.1 x 0.1이 0.01이라는 결과가 아닌 0.0100045과 같이 나오는 이유
- 소수의 곱을 처리하는 방법
- 소수의 덧셈을 처리하는 방법
- cpu와 gpu의 차이점
- 이 둘의 차이점이 생기는 이유
- gpgpu(general purpose gpu)가 뭔지? ⇒ 약간 그래픽 수업에서..?
- 깊이 우선 탐색과 너비 우선 탐색의 차이와 탐색 방법
- bfs, dfs 코드로 어떻게 구현할지 설명(스택으로)
- 기술부채가 무엇인지
- 테스트코드를 작성해봤는지
- 테스크 코드를 사용했을때의 장점과 단점
- 모듈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의 차이점
- 함수에서 Call by Value 와 Call by Ref의 차이점
- vue에서 mutation를 사용한 이유
- 스레드 세이프가 무엇인지
보이저엑스 초초초 기초 질문 20선
1. 1바이트는 몇 비트인가요?
- ) 참고로 "옛날에는..." 이렇게 대답 시작하면 무조건 통과다. 그런 수준의 체크를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2. 1픽셀은 몇바이트인가요?
- ) 마찬가지로 채널이 몇개냐에 따라서... 이렇게 대답하면 통과다. 이하 모든 질문 마찬가지
3. 2^10은 얼마인가요?
4. Stack과 Queue의 차이가 뭔가요?
5. Binary Tree의 시간 복잡도가 어떻게 되나요?
6. DNS의 역할이 무엇인가요?
7. HTTPS와 HTTP의 차이는 뭔가요?
8. 스마트폰 카메라 해상도가 (대강) 어떻게 되나요?
9. 왜 사진에는 JPG를 쓸까요?
10. 칼라값 ffffff는 무슨 색인가요?
11. <a href>가 무슨 뜻인가요?
12. call by reference가 무슨 말인가요?
13. Event Listener가 무슨 말인가요?
14. OOP에서 상속이 무슨 말인가요?
15. non-blocking call이 뭔가요?
16. 버전관리에서 commit이 뭔가요?
17. try/catch는 무슨 뜻인가요?
18. 디버깅 할때 breakpoint가 뭔가요?
19. 패스워드는 서버에 어떻게 보관되나요?
20. SSD가 HDD보다 빠른 이유가 뭔가요?
자기소개서 특강
<매력적인 자기소개서>
공통 역량 : 커뮤니케이션 능력, 대인관계 능력, 리더십/팀워크 능력, 문제해결 능력, 긍정적인 태도
이야기를 통해서 공통 역량을 돌려서 어필해야.
1) 팀 소재 : 5가지 역량을 다 꺼낼 수 있기 때문
2) 문제 정의 : 팀의 문제는 크게 3개 중 하나 - 의사소통문제 해결, 업무 성과 향상, 갈등의 해결 => 해결 방법은 조직이 좋아하는 효율적인 7가지 행동으로 증명
- 업무 성과 향상 : 일 쪼개거나 합쳐서 적재적소(팀원의 성향, 흥미, 역량에 맞춰 일 분배), 진도체크/리뷰(불만 해결, 피드백)
- 의사소통 : 짝꿍 제도(친밀감 형성), 조직계층의 추가/삭제(새 팀 구성), 커뮤니케이션 채널 변경(매개체/수단/도구-슬랙, 사람-사수 변경) / 팁 : 네이버면 밴드 쓰기 => 5가지 이성적 행동 : 효율을 아는 사람이라는 인상. 2개 이상 들어가야!
- 갈등 해결 : 공감대 형성(경청), 논리적 설득(대의/효과성) => 2가지 감성적 행동
문제해결(성과, 문제정의-외부요인, 행동), 헌신(성과, 문제정의-외부요인, 문제정의-내부요인, 행동), 강점(성과, 행동)
내게 매우 귀중한 시간을 들여(나의 개인적 이익을 희생하여) 헌신했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음!
<셀프첨삭 5단계>
다 쓰고 나면 아래와 같이 5단계로 셀프첨삭을 합니다!
1. 분량 맞는지
2. 단락 크기가 눈대중으로 비슷하게 잘 나누어졌는지
3. 첫 문장에 정보불균형이 없이 500원이 있는지
4. 행동이 있는지
5. 입으로 소리 내어 읽어보기
2차 면접 질문
- 이력서가 깔끔하다.
- 처음 개발을 배울때 어떻게 시작했는지
- 교육과정에서 뭐배우는지
- 취업을 하면 교육과정은 어떻게 되는지
-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된 이유가 뭔지
- 어떤 서비스를 개발하고 싶은지
- 파이어베이스 프로젝트를 보고 파이어베이스 관련 질문
- 꼬리에 꼬는 질문들
- 예상 코드 출력값 설명
- 간단한 함수들 만들어보기
- 스코프에 대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클로저 개념도 물어봄)
- 콜백지옥에 대해서 들어봤는지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 Promise와 async await
- Generator함수로 async를 구현하면 어떻게 할건지
- 브라우저가 검색어를 통해 이동 하는 과정
- Dns서버가 내부적으로 어떤 로직으로 작동하는지(모든 url 정보를 다 가지고 있는지?)
- 라우터의 역할은 무엇인지
- http 캐시가 무엇인지
- css 박스 레이아웃
- css 렌더링 과정
- css 선택자에 의한 우선순위
- javascript로 dom을 조작했을때 일어나는 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