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간 배우면서 새로 알게된 개념이나 잘 못 알았던 개념을 서로 나누어 보아요.
유민환
- 의존 관계 자동 주입시 생성자 기반을 선택하는 이유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다.
properties
와profile
,resource
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었다.
- 과제를 진행하며
logging
을 해보았는 데 어떻게 사용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
박우진
- 자바10부터
var
도입되었다는걸 알게 되었다.
- 실무에서도
var
을 사용하는 케이스가 많은지 궁금해졌다.
- 로깅에 대한 설정은
logback.xml
에 해줄 수 있다는걸 알게 되었다.
- 계산기 과제에 대한 리뷰를 받으며
enum
타입 활용법에 대해 알게 되었다.
- @value, @profile 에 대한 개념, 활용법에 대해 알게 되었다.
- 메소드만 제공해주는 클래스는 유틸성 클래스로 모든 메소드는
static
으로, 클래스를 생성하지 못하게 생성자는private
으로 막아두는게 좋다는걸 알게 되었다.
김수빈
- 스프링
Component
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었다
- 이펙티브 자바에서 말한
try-with-resource
를 이번 과제에서 적용해 보았다.
- 과제를 하며 Spring Container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다.
- 이번 과제에서는 드디어
enum
을 적용해 보았다
- 프로젝트 레이아웃에 대해 고민을 하는 한주였다.
강용수
- Yaml파일은 스프링 부트에서는 읽히지만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yamlFactory를 만들어 읽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 yaml 파일을 작성하면서
profile
을 통해 환경에 맞는 속성을 설정할 수 있었다.
- 과제를 통해
Resource
를 사용하면서 클래스패스 상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