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린트 미션 0일차
1: 역할 분배
안내: 진행을 위한 참고사항
- 역할의 종류
- 스크럼 마스터(SM)
- 스프린트 미션 주도
- 미션 수행 시간
- 화상 미팅 링크 공유
- 협업 툴 세팅, 관리
- 업무 규칙 규정
- 내부 갈등 중재
- 프로덕트 오너(PO)
- 결단력
- 프로젝트 목표 설정
- 해결할 문제 선정
- 문제 해결 여부 결정
- 프로덕트 백로그 관리 책임
- 참고: Product 제안자의 경우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 열의가 있음
- 개발자들
- 개발 업무에 능함
- 기술적 해결책 결정 및 실현
- 참고: PlanB님 팀장(!= PO || SM) 선정 관련 팁
- 능력
- 중재력
- 기술적 역량
- 이성적 사유
- 프로젝트에 대한 열정
- 언변(발표 관련)
- 개발 업무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진다는 주의사항
- 개발에 있어서 뛰어난 사람의 시간을 뺐을 수 있다는 면으로도 접근 가능
- 의사결정 캐스팅 보트
- 상급자 아님
- 관리 역할 주도
- 결과
- 스크럼 마스터: 이한빈
- 프로덕트 오너: 이민재
- 개발자들: 김민성, 김훈기, 김현지 + 이민재, 이한빈
2: 문제 설정: 유저 스토리 작성
안내: 진행을 위한 참고사항
- 스크럼 마스터가 진행
참고: 프로덕트 백로그와 유저 스토리(강의 내용 정리)
- 프로덕트 백로그
- PO가 관리
- 추가, 수정, 우선순위 설정의 권한 가짐
- 우선순위에 따른 순서 조정
- 큰 일을 작은 조각으로 쪼갬
- 유저스토리
- 프로덕트 백로그의 할 일은 유저스토리 형태로 작성
- 구조
고객/사용자
는목적/목표
를 위해필요/욕구
를 원한다.- 포스트잇에 들어갈 정도로 작은 사이즈!
과정
- 작성하기
- 30분동안 각자 유저스토리를 작성
- 사소한 것들도 적음
- 고객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기
- 동일 보드에 붙이기
- 살펴보기
- 궁금한 것은 질문
-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전달
- 유저스토리 정리
- 분류
- 병합
- 너무 세부적인 것은 유사한 것과 합치기
- 분할
- 애매모호한 것은 명확히 작성
- 큰 유저 스토리의 경우 작은 유저 스토리 여럿으로 나눠 작성
- 결과: 2, 3에 대한 결과물은 별도 공유
3: 프로젝트 목표 설정
- 작성한 유저스토리를 MosCoW 기준으로 분류, 정리
- MoSCoW
Must Have
: 이번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여기까진 다 해야한다.Should Have
: 혹시라도 여력이 된다면 여기까지도 한번 해보자.Could Have
: 여기까지 할 수 있다면 정말 좋겠지만, 못해도 괜찮다.Won’t Have
: 이건 이번 프로젝트에 할 수 있는게 아니니 괜히 미련 갖지 말자.
- 스토리 보드 작성하면 MVP 도출됨
- 유저스토리 워크샵에서 나온 유저스토리 기반으로 작성
- 사용자 여정
- 로그인 -> 날짜, 시간 선택 -> 영화 시간표 확인 -> 좌석 선택 -> 결제
- 사용자 여정(시간)에 따라 유저 스토리를 정리(좌우)
- 우선순위 순서대로 정렬(상하)
- 스토리 보드의 첫 번째 줄
- MVP; Minimum Viable Product
- MMF;Minimum Marketable Feature
- 물론 특정 여정의 경우 첫 줄이 비어 있을 수 있음
참고: 스토리보드(강의 내용 정리)
스토리보드
4: 내일까지 준비할 것 && 제안 사항
개인적인 제안
- 사용자 여정 초안 같이 설정하기
- 다음 날 진행하는 플래닝 포커에 대해 파악하기
- 유저 스토리 중 기술적 구현 등에 대해 지식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대략적으로 파악해오기
- 다음 날, 각 유저 스토리에 대한 시간 견적을 대략적으로 짜기 때문
- 프로젝트 전체 설계를 언제 할 지 고민
- 0일차는 역할 분배, 스프린트 단위 MVP 설정
- 1일차는 플래닝 포커를 통한 일정 설정, 스프린트 목표설정
- 스프린트 미션의 경우 UML, ERD, API 스펙 등의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설계가 결여되어 있음!
- DAY2: 금요일부터 하면 어떨런지?
역할 별 준비사항
스크럼 마스터
- 협업 툴 선정
- 프로젝트 관리용 협업툴 (Trello, Notion, Jira 등)
- 문서 공유용 협업툴 (구글 드라이브, Notion✅, Confluence 등)
- 메신저 (Slack✅ 등)
- 온라인 화이트보드 (Mural✅, 게더타운 등)
프로덕트 오너
- 유저스토리 / MoSCoW 정리, 필요할 경우 변경
- 변경 시 다음 날 팀원들에게 자세히 설명해야 함
- MoSCoW 각 섹터 내부 우선순위 설정
- 예) Must Have에 포함되어 있는 유저스토리가 4개라면 4개를 우선순위에 따라 1순위에서 4순위로 정리하면 됩니다.
개발자들
- Must Have 내에 있는 유저스토리의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필요한 리서치, 아이디에이션, 테스트 등을 가볍게 진행
- 아이디에이션
- 아이디어 도출
- 기법으로 브레인스토밍, 브레인라이팅, 등등...
- PO, SM의 경우 시간 부족 가능성이 있기에, “개발자들” 담당 업무는 다른 개발자들이 많이 지원
- 추가
- 스크럼 전 또는 직후에 그랩님의 특강 만족도 조사를 작성하는 시간을 팀별로 가져주세요: 작성 링크 https://forms.gle/Rc8A7AVNyzBWYXBFA
- 용어를 명확하게 정리하는 페이지가 필요할 듯: 팔로우, 스크랩, 등등…
- 모임 시간
- 훈기: 4시 인터넷 설치기사 방문
- 현정: 3시 ~ 5시 스터디
- 오후 7시(19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