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컨벤션
1-1. code convetion
1-2. commit message convention
- 소문자로 시작하기
init: 개발 환경 초기 세팅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design: UI를 위한 스타일링 fix: 버그 수정 docs: 문서 추가, 수정, 삭제 style: 코드 포맷팅(코드 순서 변경, 세미콜론 추가) refactor: 코드 리팩터링 asset: 폰트, 이미지 추가 chore: 그 외 자잘한 수정
1-3. git branch strategy
git flow 전략

feat/#[issue-number] → develop → main(배포 브랜치)
1-4. 폴더 구조
2. 역할 분담
3. 칸반 보드 세팅
- 깃허브 Projects 사용
4. 타임라인
4-1. 전체 일정
- 01/09 기획서 제출 - 오후 6시까지 (자유 양식)
- 01/16 중간 점검 - 영상 제출(자유 양식) / 중간 회고
- 01/20 최종 제출 - 영상 제출 / 발표 자료(PPT) / 최종 회고
- 01/26 상영회
4-2. 개발 상세 일정
5. 커뮤니케이션 방식
5-1. 회의 방법 및 진행 계획
- 회의록 세팅 담당자
- 회의 내용 기록 담당자
- 미리 정한 회의 안건만 간단하게 논의
5-2. 지켜야 할 규칙
회고
- 5F, 2일마다 진행
노션
- 개발 시 참고한 블로그/문서가 있다면, 노션의
개발 참고 자료
페이지에 링크 첨부
- 학습 정리에 문제해결/메모/학습정리 할 수 있음
- 회의록, 회고록, 기획서 등 기록 용도로 노션 사용하기
디스코드
- 작업하다가 궁금한 점, 헷갈리는 점이 생기면 디스코드에서 화면 공유하고 물어보기
깃허브
- PR은 리뷰어가 파악하기 쉽도록 최대한 친절하게 남기기 (작은 issue, 작은 PR 추구)
- file changed 최대 15(이미지 같은 파일들 제외하고)
- 되도록이면 PR 올린 사람이 merge
- 리뷰 관련
- 팀원 모두 리뷰 작성 필수
- 2명이 리뷰 남겨줘야 merge 가능
- 할 말이 없다면 응원/칭찬이라도 남기기
- 매일 작업 시작 전에 올라온 PR들 리뷰 완료하기
- 아래 블로그(feat. 혜준) 참고해서 리뷰 남기기
슬랙
- 슬랙 팀 채널에 투두리스트 공유
- 질문 / 소통 / 투두리스트 공유 용도로 슬랙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