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팀에서 아쉬웠던 부분
기획
- 초반에 유저스토리 작성이 미흡해서 개발 중간에 추가되는 부분이 많았다…
- 기획에 맞는 UI, 디자인을 해야한다
- 차별성이 있어야 하고, 기획에 특화된 기능이 있어야 한다
디자인
- storybook 써서 컴포넌트를 개발 ⇒ UI 라이브러리에비해서 좋았던 점을 못 찾았다
- 차크라 같은 거 쓰면 쉽게 개발할 수 있었을 텐데!
- 디자인에 대한 충분한 의견 교환!
일정관리
- Github 기능을 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 칸반보드를 어디 걸로 쓸 것인지!
- 개발을 해야할 것들을 정리해놓기 (To do List 형태로)
- 세부 기능들을 또 나누기
이전 팀에서 좋았던 부분
컨벤션
- 컨벤션 미리 얘기해서 맞춰놓았던 게 좋았음!
협업 툴
- Github 기능들을 활용해서 협업을 진행하니 다른 앱을 사용할 필요없이 편리했다.
추천
- ESLint rushstack
- feat/페이지/컴포넌트
feat/common/button
feat/post/item
확정된 부분
- Github를 main 으로 쓰고 나머지를 +a 로 가져가기
- Figma
- 일정관리 → 미리 주차마다 짜놓기
- 밀리면 우선순위 가장 높게 두기
- 차크라~!
- ESLint import Rule
- package.json 관리하기
- story book
- 공통 컴포넌트까지만
- 사유: 컴포넌트를 쉽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 기술 쓰는 이유 상세하게 알아보기
- nextjs는 각자 고민해보고 목요일에 정하는걸로!
- 브랜치 이름: 커밋컨벤션[feat, fix, style…]/page/component
- PR approve 1명
- develop 브랜치 작성
- 스프린트 기간 (월, 금)
🚨 Fix: [파일 명.tsx] - [수정 내용] ✨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 Init: 프로젝트 초기 생성 📝 Chore: 그 외 자잘한 수정에 대한 커밋 🚀 Build: 빌드 관련 파일 수정 / 모듈 설치 또는 삭제에 대한 커밋 💄 Style: CSS, styled-component 스타일 관련 변경 🔨 Refactor: 코드 리팩토링에 대한 커밋 🍱 Asset: 파일(이미지, 아이콘 등) 추가
- 커밋 세세하게 나누는 거 노력하기!
- 이슈 생성할 때 해야할 일 체크 박스로 작성
- todo 하나당 커밋 나누기
- tailwind
- p1~p5 적용해보기! (pr)
- 페이지, 컴포넌트는 무조건 대문자로 시작! 타입이나 유틸함수는 소문자로 카멜케이스!
- PR 템플릿에 구조도 추가
- PR 라벨
폴더이름
src/pages/페이지(대문자)
- componets - 파일 단위로 작성 - page prefix 네이밍
- Profile page 의 경우 → ProfileHeader, ProfileAvatar 등등!
- hooks
- 로직이랑 렌더링 최대한 분리시켜서 어떤 렌더링을 하는지 알 수 있도록 만들기!
- constants
- 상수 모아놓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