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미팅 주제
- 오프 멘토님과 마지막 커피챗 미팅입니다! 다들 수고 많으셨고 감사했습니다! 🥰
💡 오프 멘토님께 하고 싶은 질문
질문 표
정리
코드리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방법은?
- 강사분들이 만들어 놓은 틀에 맞춰 코드를 작성하기 보다는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지정해서 리뷰를 받아보는것도 좋은 방법인것 같다.
- 리뷰는 적용하는게 중요한 것이다.
- 적극적으로 멘토님한테 요청을 하세요.
프로젝트 전 마음가짐에 대한 조언
- 프로젝트 시작전에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고민
-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 공통 시간을 1MD로 정하고 게획을 세워라
- 촉박하게 개발하지 마라.
- 프로젝트 스펙을 정리할 때 우리 프로젝트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기능이 뭔지 정의하기 => 이걸 기준으로 일정을 잡는 것을 추천
시큐어 코딩
- 프론트 단에서 시큐어 코딩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한가요?
- 프론트, 백 둘다 중요하다.
- 패키지(의존성) 관리를 잘 하자.
면접 때 돌진 하지 않는 방법(의도파악 X)
- 혼자서 길게 얘기만 안하면 된다.
- 짧고 간결하게 핵심만 전달하는게 더 좋다.
백엔드와 프로젝트 할 때 더 신경써야 할 부분
- 부탁이나 요청 할 때는 엄청 공손하게
- 부탁을 드리면 그것에 대한 응당한 대응
- 서비스의 품질을 생각한 근거 있는 요청
코드의 완성도, 프로젝트의 완성도
- 마치 한사람이 코드를 작성한것 처럼 만들어야 한다.
- ESLint, prettier
- 폴더 구조에 대한 협의
- 우리 프로젝트에 딱 맞는 아키텍쳐를 선택
- API에 대한 에러처리
- 로딩과정
- 접근성
- 검증 코드 UX, UI에 대한 고민
- 리렌더링에 대한 고민
- 캐싱에 대한 고민
- 라이브러리의 특성에 대한 공부
- 코드 리뷰에서 근거있는 제시와 제안을 하기
ISO/IEC 25010
- ISO뿐만 아니라 메뉴얼이 있으면 중요하다.
- 그러나 그런 키워드보다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는게 좋다.
오프멘토님 코드 작성 방법 => 탑다운 or 바텀업
-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
- 실제로 동작하는지 에 대한 검증을 하고 판단이 되면
- 프로젝트에서 발생할수 있는 문제에 대한 검토나 확장성 등을 고려
- 뻔한 기능 같은 경우는 그냥 넘어감
- 꼼꼼하게 일을 하는 역량을 길러보자.
조언
- 회사에서는 계획을 세워주지 않는다.
- 사람이 무능해보이는 것중에 하나가 일정관리이다.
- 8시간동안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파악 할 수 있어야 한다.
- 일에 걸리는 시간보다 1.5배 정도로 산정하고 미리 끝냈다고 말하는 스킬
- 핵심이 되는 “질문”을 잘하자.
- 최악의 대답 : 그 부분은 내가 개발한 부분이 아니라서 잘 모르겠다.
=> 내가 개발한 부분이 아니어도 공부해서 설명할 줄 알아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