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관
18일 05시니까 여기에 회고를 쓰는게 맞는거 같다. 아무튼, post에 스타일들을 모두 적용했다. 코멘트와 like의 경우 대신 merge를 진행하였는데 내가 작성한 코드가 아닌것도 있고 모르는 내용이 포함된 부분들이라 모든 내용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최대한 많은 부분을 반영하여 기존의 기능들과 결합하였다. suspense나 errorboundary에 대해서 더 공부 해보고 클로저와 hook에 대해서도 더 공부해 보면 좋겠다.
멘토님께 우리가 쓰는 포트의 모든 정보를 삭제해 달라고 하였다. 기존에 들어간 자료들 중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다.
이제 포스트 수정 화면에서 이미지를 변경하고 미리 볼 수 있다. 몇 시간뒤에 배포를 할텐데 제발……별일 없기를 …
유지영
사실 오늘은 금요일이지만 약간 밀린 개인회고같은 일기를 작성… 지금은 새벽 6시.,..수요일엔 팀원들이 만든 css를 통합해서 스타일을 통일시키는 작업을 했다. 간단하겠지 싶었는데 생각보다 오래걸렸다. 공통컴포넌트를 역시 미리 만들어놧어야했는데…나중에 만드니까 오히려 일을 두번하는 꼴이 되는 것 같았지만 그래도… 이렇게라도 팀원들에게 도움이 되서 너무 다행이었다.
소피아님에게도 수정되었으면 하는 ui를 여쭤봐서 수정했더니 더 깔끔해진 것 같아서 기뻤다. 계속 같은 디자인을 보고 있으면 (심지어 내가 만든) 이게 잘만들어진 건지 아닌지 잘 모르는 지경이 되는 듯하다.
박민형
조예지
우대현
오늘은 전체적으로 스타일은 구현했고, 최신순/공감순 버튼, 글 작성하기 버튼에 대한 스타일을 적용하면서 기본적인 스타일 적용은 마무리 했고,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구현해 보고 싶은 기능들을 추가로 구현했다. 포스트 리스트에 나오는 목록에 글들이 어떤 채널에 해당하는 글인지 포스트 리스트에서 각 포스트마다 보여줄 수 있는 기능들을 구현했다. 그러기 위해서 API를 다시 확인해 보니 channel 이름이 들어가 있는 필드가 있었고 이를 활용하여 손 쉽게 노출 시켜줄 수 있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적용해보고 싶었던 기능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SNS를 통해서 볼 수 있는 글을 작성했을 때 몇 분 전, 몇 시간 전, 몇 일 전…과 같은 포스트 생성 경과시간을 노출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싶었다. 현재 API에서는 포스트가 생성된 시간이 ISO 형식에 맞춰서 시간이 저장되어 있었고, 시간을 일치시키기 위해 new Date()를 toISOString()를 통해서 일치시킨 후 날짜/시간/분/초/로 나눠 비교를 통해 적용하려고 했다. 하지만 너무 쉽게만 생각했었는지 조건을 정하는게 굉장히 까다로웠다. 그래서 결국 구글링을 통해서 구현했던 것 같은데 비교는 내 생각보다 너무 간단했던 것 같다.
우선 지금 현재 시간과, 글이 작성된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변환하여 그 차이를 구하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한 달 30일, 하루 24시간, 1시간 60분, 1분 60초..를 활용해서 다시 변환해주면 쉽게 끝날 일이었다. 예를들면 new Date().getTime()을 통해서 밀리타임을 쉽게 구할 수 있었다. 이를 조건으로 만들고 다시 일, 시간, 분으로 전환해 주면 끝날 일이었다. 이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루의 대부분 시간을 보낸 것 같다. 이런 새로운 내용을 접할 때면 아직도 갈 길이 멀었구나ㅠㅜㅠㅠㅠ 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 하지만! 그래도 한 가지 배운점이 있다면 구현은 못했지만 생각하는 흐름은 비슷하게 생각을 한 것 같고 결과적으로 구현을 해냈다는 점이다! 기분은 너무 좋다 ㅎㅎㅎㅎ
그리고 React-moment라는 라이브러리를 알게 되었는데 구현할 것들이 급해 정확하게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이미 잘 구현된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적극 활용해도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