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수
1 .IT대기업(네카라쿠배당토 등등)을 희망하는데 대기업 면접을 위해 특별히 더 신경 써야 하거나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까요?
2. 대기업 vs 스타트업 중에 왜 대기업을 선택했냐라는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이 있을까요?
-> 주변 얘기를 들어보면 스타트업은 기획과 디자인에 관여를 많이 해야 하고 대기업은 그런 기회가 적고 개발에 집중하는 타임이 많다고 하는데
저는 개발에 집중하는 것을 선호하고 네임밸류가 목표인데 이러한 답변이 면접관들에게는 적절한 답변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멘토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3. 흔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어떻게 가져가는 것이 좋을까요?
ex) 질문 : 프론트엔드를 선택한 이유가 있을까요?
답변 : "유저와 제일 가깝게 소통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매력"
-> 너무 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답변도 괜찮을까..?
4. 포트폴리오에 어느 정도의 수준의 프로젝트를 기입해야 할까요?
완성된(결과물이 있는) 프로젝트 기준으로만 포폴에 적을 예정인데
한 파일에 모든 코드를 작성했거나 일정한 방식(git branch 전략, 코드 컨벤션, 폴더 및 파일 구조) 없이 한 것들도 기입해도 괜찮을지?
또한 리팩토링을 진행한 프로젝트가 데브 코스 진행하면서 하는 것 외에는 없는데
리팩토링을 왜 안 했냐에 대한 질문에 선방할 수 있는 답변은 무엇이 있을까요?
4-1 포트폴리오에 프로젝트 기입 시 어느 정도로 구체적으로 적으면 좋을지..
기본적인 것 외에 회고 내용, 느꼈던 점 이런 것들도 적혀있으면 좋을지 아니면
핵심 내용(기술 스택, 프로젝트 개요,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만 기입하고
나머지는 면접으로 준비하면 될지 궁금합니다
면접 외에 질문
5. 론 멘토님처럼 이런 멘토 역할을 하기 위해 따로 준비하거나 노력하신 것이 있는지..
어떻게 데브 코스랑 인연이 생겼는지 궁금합니다
강푸름
- 면접관으로 들어가신다면 꼭 하거나, 할것 같은 프론트엔드 관련 질문이 궁금합니다. (1 ~ 2개)
- SI(프론트엔드 쪽은 엄청 얕게 했습니다.) 경력이 있는데, 회사 지원할 때 저는 아래와 같은 생각이 듭니다. 론님의 개인적인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 신입으로 지원할 경우 : 프론트 경력은 아니지만 그래도 경력이 있네? -> 자격 미달
- 경력으로 지원할 경우 : 순수 프론트의 경력은 없는데 왜 지원했지? -> 자격 미달
- 론님께서 추천하시는 이력서, 포트폴리오 양식이 따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 포트폴리오나 이력서에
이것
만큼은 꼭 있어야 하는 내용이 있을까요??
- 프로젝트가 완성은 되어 있지만 아직 리팩토링 되어있지 않거나 리팩토링을 진행중인 경우의 프로젝트도 포트폴리오에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 론님 기준으로 면접볼 때 다른 건 몰라도
이것
만은 절대 용납 안된다 하는 포인트가 있을까요?
- (React) 눈감고도 리액트 코드를 작성하실 수 있는 론님.. 어떻게 리액트를 마스터 하셨나요? 공부법이 궁금합니다.
- (React) 리액트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React) Container, Presenter 패턴을 사용할 때 Presenter 컴포넌트에서 자신만을 위한 상태나, 함수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을까요? (예를 들면 form에 대한 상태값이나 input의 handleChange와 같은 함수도 Container로부터 내려받는게 맞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React) 론님께서 주로 사용하시는 개발 패턴이 있으신가요?? (e.g. Container-Presenter 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