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규라미 중간회고 - KPT
🎨 FRONT
Keep
- 파파
- ..
- 로렌스
- 의사소통을 활발히 하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 자책을 하지 말고 열심히 개발에 몰두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 톰슨
- 깃 사용에 익숙해지고 있다.
- 프론트엔드 작업과정에 익숙해졌다.
- 클레어
- 프론트 내에서 역할이 나눠져서 조금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Problem
- 파파
- 개발이 늦다고 생각한다
-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시간 분배도 그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 로렌스
- 개발 속도가 느리다고 생각한다.
- API 연동과 기능구현 까지 다 되어야 번다운 차트가 내려가는 문제
- 예쁘게 애니메이션 같은 것을 하고 싶었는데 기능 구현에도 벅참.
- 코드 리팩토링 이런건 할 수가 없음.
- 톰슨
- 지라 티켓을 관리하지 못했다.
- 왜 관리 못했을까?
- 진행률이 오르지 않아서 관리 할 의욕이 떨어졌던 것 같다.
- 내가 열심히 안해서 그럼
- 열심히는 했는데 잘 못한듯
- 지라 티켓을 관리한다는건?
- 내 티켓만 옮기고 크로스 체킹은 생각도 못했다.
- PR 확인하고 머지하는 것 까지 시간이 오래 걸렸다.
- 내 코드 작성하느라 다른 PR을 확인하지 못했다.
- 늦어지는 것 같으면 과정을 축소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러지 않았다.
- 나는 과연 능동적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했을까?
- 나는 못한다는 생각 때문에 수동적으로 참여한 것 같다.
- 이런 태도가 문제였던 것 같다.
- 내 기준 너무 다양한 기술을 도입한 것 같다.
-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했다면 훨씬 빠르게 개발했을 것 같다.
- nextjs도 SSR은 활용하지 못하고 CSR로만 개발하고 있다.
- 쿠키 전달 이슈
- recoil은 처음 전역 상태를 만드는 건 간단했지만 활용하는 건 어느 정도 공부가 필요했던 것 같다.
- 클레어
- PR merge가 좀 느린 것 같습니다. 저도 코드리뷰를 최대한 빨리 달고 문제가 없으면 approve를 누르도록 하겠습니다!!
Try
- 파파
- 시간을 많이 땡겨서 개발에 투자를 해야 한다
- 로렌스
- 시간을 많이 써야지 완성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시간이 없었나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 톰슨
- PR 확인을 빠르게 하고 코드 리뷰 절차를 간소화하자 ⇒ 진행중
- 일정 확인하고 최종 목표를 축소해야 할 수도 있다.
- 도입한 기술은 최대한 빠르게 공부하는 수 밖에 없다.
- 못할 것 같았으면 초기에 의견을 내야했는데 그러지 못함
- 공부하면서 프로젝트 한다는 생각 때문에 그냥 해보자 했던 것 같음.
- 클레어
- 빠르게 페이지 구현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백엔드 분들도 진행 상황을 한눈에 보고 파악할 수 있게 모바일 화면에 맞게 레이아웃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 BACKEND
Keep
- 크롱
- 비 동기적인 소통은 이제 잘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혭
- 비동기적인 소통과 문서화를 통해 프로젝트에 온전히 참여하지 못하는 저도 프로젝트의 상황을 잘 알 수 있었습니다.
- 마크
- Jira를 잘 활용했다고 생각합니다. 티켓 활용, 댓글 멘션을 통한 소통, 슬랙 알림 연계 등 소통도 좋았습니다.
- 널
- 지라 위주로 대화를 이어나가고 그 기록들이 지라를 통해 모아 볼 수 있다는 점이 꽤 유용하다고 느껴졌습니다. 이전에는 여기저기 흩어진 문서 때문에 컨텍스트 통일이 되지 않았는데 많이 해결된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 엘리자베스
- 잘 모르겠음.
Problem
- 크롱
- 지라의 차트가 이상적인 모습으로 그려지지 않아서 다시 고민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
- 혭
- 지라의 차트가 개선된 모습을 프로젝트 끝나기 전까지 볼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 기술을 서치하고 도입하고 싶었는데 계획했던대로 바로 도입할 수 없었습니다. (개인적 problem)
- why?
- 이론과 실제 도입은 완전히 다르고, 이론을 아주 잘 이해해야할 수 있었습니다.
- 마크
- 문서 업데이트를 소홀히 했던 것 같습니다. 그때 그때 생각했던 것들을 바로 문서화 하지 않고 지나친 부분들이 로스로 이어졌던 것 같네요.
- 널
- 일주일 남았는데 진행도가 너무 낮은 것 같습니다ㅜ_ㅜ
- 실질적인 개발 시간은 4일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2-3일정도는 QA를 하면서 마무리하고 주말 동안은 최종 배포를 하고 최종 발표 준비를 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fix하는 시간을 보내야합니다.
- 지라 보고서가 이상적인 모습은 아닌 것 같습니다ㅜ_ㅜ
- 모든 작업이 애자일 보다는 폭포수모델 방식의 느낌이 강했습니다. 기능이 스노우 볼링이 되면서 살이 붙어가야하지만 모든 단계가 다 끝나고 나서야 다음 단계가 진행되는 느낌이 들었는데 차트가 여과없이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아요.
- 백엔드 내에서도 컨벤션 통일이 잘 되지 않았던 것 같아요 다듬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 도메인이 제대로 나누어졌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어요,, 지금은 entity 단위로 도메인이 나누어져있는데 뭔가 잘못 됐다고 생각이 듭니다ㅜ_ㅜ
- 문서를 저도 역시 아직까지 신경쓰는게 부족한것같아요 프론트 분들이 통일되지 않은 문서때문에 혼란을 겪는 것 같아 더 신경써야겠습니다.
- 엘리자베스
- 문서 업데이트를 해야할 것 같습니당
- 스토리
- 기술 문서
- 트러블 슈팅
- …
- 기능에 스노우 볼링 현상이 잦아져서 개발이 늦어진것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그러므로 현재 시점으로 포기할건 과감히 포기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도메인이 잘 나눠지지 않는 느낌이 듭니다. 그룹핑을 다시 하는게 어떨지 궁금합니당
- 컨벤션을 다시한번 점검해보면서 크로스체킹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당
- 지라 차트를 보면서 문제들을 리스트업하고 개선하기 위한 목록들이 리스트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Try
- 크롱
- 모든 부분에서 더 힘을내서 열심히 달려나가는 방법밖에 없을 것 같아요 !
- 혭
- 남은 시간을 잘 활용하자
- 업무 시간을 제외한 시간을 잘 활용해야겠습니다. (개인적)
- 아침시간은 활용하는데 밤시간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같습니다.
- 집을 바로 안 들어가야겠습니다.
- 기술 이론을 더 서치하고 온전히 이해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 우리 모두 화이팅 !
⇒ 업무 분담을 해야합니다. 현재는 완성이 먼저다.. !
- 마크
- 마지막 스퍼트로 달려야 될것 같습니다. (코드 퀄리티를 높이든, 기능을 늘리던, 기술을 더 도입하던 무엇이든 빠르게!)
- 널
- 저는 OAuth 이후로 더 이상의 기술 도입은 멈추고 디버깅과 리팩토링에 힘쓰도록 하겠습니다.
- 리팩토링을 팀원 모두가 붙어서 하기는 비효율적인 것 같습니다 2명 정도가 담당을 해서 다른 팀원들에게 제시하는 방식이 어떨까 싶어요
- 잠은 죽어서 잡시다.
- 엘리자베스
- 기능을 확장하지 않고 코드적으로 고민하는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심심하면 기술 공부 깔짝
- 리팩터링 담당 저를 포함해 2-3분 ? 있으면 좋을 것 같구요 나머지 두분이 문서화 verify하면서 부족한 부분 채워나가면 잘 마무리 될 수 있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