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의 개요특징클라우드의 유형(Service model)Infrastructure as a ServicePlayform as a ServiceSoftware as a Service클라우드의 유형(deployment model)Public CloudPrivate CloudHybrid Cloud클라우드 서비스 제품클라우드 서비스 기본 개념가상화(Virtualization)가상머신(VM)하이퍼바이저가상화의 유형가상화 VS 컨테이너화CDN 이란?CDN이 필요한 경우는?스냅샷 ?데이터 센터?리전?가용영역
클라우드의 개요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을 말한다.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프라, 플랫폼 또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 클라우드라는 단어가 말해주듯, 인터넷 통신망 어딘가에서 구름에 쌓여 보이지 않는 컴퓨팅자원(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원하는 대로 가져다 쓸 수 있다.
- 구름에 싸여있다는 것은 그 내부를 보려고 하거나 알지 않아도 얼마든지 내가 원하는 것을 꺼내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든 이것을 보장받을 수 있다!
특징
- On demand
- 대규모 확장성
- 종량제 과금(사용한 만큼!)
- 관리의 편의성
클라우드의 유형(Service model)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Iaas는 서버, 네트워킹, 스토리지와 데이터 센터 공간 등의 컴퓨팅 자원을 종량제 방식
Playform as a Service
- Paas는 기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 호스팅을 구매하여 관리하는 비용과 복잡도 없이, 웹 기반(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여 제공하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데 갖춘 클라우드 기반 환경을 제공한다.
- Iaas에 OS, Middleware, Runtime 추가
- AWS Ele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 등
Software as a Service
- Saas는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혹은 SaaS는 모든 기능이 동작하는 SW를 제공한다.

클라우드의 유형(deployment model)
Public Cloud
- cloud 서비스 필요로 하는 사용자 누구든지 사용이 가능
- 누구나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한다.
Private Cloud
- 기업 및 기관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Cloud Computing 환경 구축
Hybrid Cloud
- public / private Cloud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형태
클라우드 서비스 제품
- 아마존 AWS
-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 구글 GCP
- 오라클 OCI
- IBM 클라우드
- 알리바바 클라우드
- KT 클라우드
- 네이버 NCP
클라우드 서비스 기본 개념
가상화(Virtualization)
- 가상화란 물리적 컴퓨터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세스이며,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을 제공한다.
- 리소스 효율성
- 관리 편의성
- 가동 중단 시간 최소화
- 프로비저닝 고속화
가상머신(VM)
- 가상 머신은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물리적 컴퓨팅을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환경이다.
- 이들은 일반적으로 VM의 구성, 가상 하드 드라이브의 스토리지, 그리고 특정 시점에 해당 상태를 유지하는 VM의 일부 스냅샷을 포함한 다수의 파일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이퍼바이저
- 하이퍼바이저는 VM을 코디네이션 하는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 이는 VM 및 기반 물리적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 실행에 필요한 물리적 리소스에 엑세스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 이는 또한 서로 간의 메모리 공간이나 컴퓨팅 사이클에서 영향을 줌 으로써 VM이 서로 간에 간섭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 두 가지 유형의 하이퍼바이저가 존재합니다.
- 유형1 또는 “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는 기반 물리적 리소스와 상호작용 함으로써 기존의 운영체제를 모두 대체합니다.
- 유형2 하이퍼바이저는 기존 OS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됩니다.

가상화의 유형
- 데스크탑 가상화
- 네트워크 가상화
- 스토리지 가상화
- 데이터 가상화
-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 데이터 센터 가상화
- CPU 가상화
- GPU 가상화
- Linux 가상화
- 클라우드 가상화
가상화 VS 컨테이너화
- 서버 가상화는 하드웨어에서 전체 컴퓨터를 재생성하며, 이는 다시 전체 OS를 실행합니다. OS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 컨테이너는 대안적인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의존하는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및 환경변수 등만을 실행하면서 기반 OS 커널을 공유, 따라서 컨테이너 보다 작아지며 배치 속도가 빠르다
CDN 이란?
-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로 지리적 제약 없이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콘텐츠 기술
- CDN은 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를 줄여 콘텐츠 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 CDN은 각 지역에 캐시서버(PoP, Points of Presence)를 분산 배치해, 근접한 사용자의 요청에 원본 서버가 아닌 캐시 서버가 콘텐츠를 전달한다.
CDN이 필요한 경우는?
- 인터넷을 통해 비즈니스를 운영하거나 웹 사이트에서 그래픽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의 콘텐츠를 제공한다면 CDN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 CDN은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온라인 게임, 대용량 파일 전송, 그리고 해상도가 높아 용량이 큰 이미지를 다루는 쇼핑몰, 포털 사이트 등에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스냅샷 ?
- 스냅샷은 마치 사진을 찍듯이 특정 시점에 스토리지의 파일 시스템을 포착해 보관하는 기술
- 윈도우 OS의 복원 지점과 같이 장애나 데이터 손상 시 스냅샷을 생성한 시점으로 데이터를 복구
- 스냅샷은 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복사해 다른 곳에 저장하는 백업과 달리 초기 생성 시 혹은 데이터의 변경이 있기 전까지는 스토리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 메타데이터의 복사본에 해당하기 때문에 생성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고, 장애 상황이 발생해도 빠르게 데이터를 복원한다.
데이터 센터?
수만은 서버들을 한데 모아 네트워크로 연결해 놓은 시설
IDC - Internet Data Center
CDC - Cloud Data Center
리전?
- 리전은 데이터 센터가 위치한 지역이다.
- IT 리소스를 생성할 리전은 선택이 가능하며 대상 고객의 지역과 자원 생성할 리전이 최대한 가까워야 한다.
- 국가마다 자원사용 비용이 다르다.
가용영역
- 하나의 리전은 두개이상의 Avaliablity zone으로 구성됨
- 줄여서 AZ로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