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의 4가지 특징면접에서 객체지향의 4가지 특징을 설명해보라고 가끔 물어봅니다. 오늘은 그것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추상화는 객체들이 가진 공통의 특성들을 파악하고, 속성, 기능을 묶어 이름을 붙이는 것입니다. 그림 출처 그림을 보았을 때, 사람, 강아지, 고양이 등이 있을 때 각각을 우리는 객체(Object)라고 합니다. 이 객체들을 하나로 묶으려 할때, 동물(animal)이라는 추상적인 객체로 크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https://junghyun100.github.io/OOP_Characteristic/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4대 원칙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하는 이유? 유지보수성! + 재사용성! 1. 추상화(Abstraction) 객체들의 공통적인 특징(속성, 기능)을 뽑아 이름을 붙이는 것 2. 캡슐화(Encapsulation) 특정 객체가 독립적으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와 기능을 하나로 묶은 것 (모듈화의 의미 ) 정보를 객체 안에 포함시키고, 그 정보에 대한 직접 접근은 허용하지 않는 대신, 필요에 따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외부에 공개하는 방식 * 접근 제어자 public - Allprotected - 클래스, 패키지, 상속default - 클래스, 패키지private - 클래스 3.https://geonoo.tistory.com/32객체지향의 4대 특성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캡슐화, 상속, 추상화, 다형성)가장 흔한 설명중에 대표적으로 잘못된 것은 붕어빵이야기다. 클래스 = 붕어빵틀, 객체 = 붕어빵에 비유하며, 붕어빵틀에서 붕어빵을 찍어낸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코드로 보면 이 비유는 틀렸다. 클래스 객체변수명 = new 클래스(); 에 대입해보면, 붕어빵틀 붕어빵 = new 붕어빵틀(); 이다. 말이 안되는 예제이다. 여기서 붕어빵틀은 붕어빵을 만드는 Factory로 이해를 해야지, 클래스와 객체관계로 이해하면 안된다.https://sjh836.tistory.com/158[디자인 패턴] 객체지향의 4대 특징객체를 만들고 조작하며 객체끼리 관계를 맺어서 다수의 객체가 함께 수행될 수 있게 하는 것 ↔ 절차 지향 언어ex) C++, C#, Java, Python 등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한 가지 기법으로 객체를 만들고 객체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방법 특징 프로그램에 다수의 객체를 만든다. 객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재사용성 상속을 통해 프로그래밍 시 코드의 재사용을 높일 수 있다.https://just-my-blog.tistory.com/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