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Braking
자기소개 기반 무물(무엇이든 물어보세요)
Coffee Chat 인증샷 or 게임 인증샷 → 스레드에 제출
팀원 간 마인드 파악
- 이번 프로젝트에서 내가 가장 얻어가고 싶은 것?
Koby
: 최대한 많은 것을 경험해 보고 싶음, 프/백 같이 할 수 있는 팀 프로젝트가 잘 없다보니...Roy
: 기간 내에 기획한 만큼의 기능을 완벽하게 구현하고 싶음, 스프린트 관리를 잘 해서 완료하고 싶음Dorr
: 결과물을 얻는 것, 협업에 대한 경험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함, 좋은 사람들도 얻어가고 싶음Rosa
: 공부했던 것들을 적용하며 얻어갔으면. 웃으면서 하고 싶음.Nancy
: 팀원들과 협업능력, 개발 능력, 전에 안썻던 툴이나 라이브러리를 쓰고 싶음.Poogle
: 계획한 것 다 하고 싶음, 좋은 사람들 만나고 싶음Jenn
: 포트폴리오에 넣을만한 완성도 있는 프로젝트
- 온라인이 좋나요 오프라인이 좋나요
koby
: 크게 상관 없음Roy
: 크게 상관 없으나 장비의 문제로 인해 데브코스에서 정해준 스케줄대로 하는게 좋은 것 같음Dorr
: 크게 상관 없음, 제주도에서 올라왔다 보니 최대한 뽕뽑기 위해 오프라인을 많이 나가고 싶음Rosa
: 오프라인Nancy
: 개인적으로 오프라인을 선호합니다. 소통이 원할해서 좋아요Poogle
: 둘다 상관없지만 평 오프라인 주 온라인Jenn
: 장비가 집에 많아서 온라인을 좀 더 선호해요
- 이건 하지 말아주세요 / 해주세요
koby
: 언제든 있으니 필요하면 불러주세요, 바로바로 소통해주세요Roy
: ~님 안 붙였으면 좋겠다!Dorr
: 서로 대화나 소통을 많이 했으면 좋겠다.Rosa
: 9-21 위주의 소통Nancy
: 서로에게 상처주는 말은 지양해주세요 :)Poogle
: 소통 좋아하니까 개발 외적으로도 소통 좋아요Jenn
: 비동기 소통을 선호해요
팀장 취임식
- 의견 충돌이 있을 때 누가 가장 중재를 잘 해줄까?
기술적으로 뛰어난 편인가?
- 어떤 기술에 특히 편향적이지 않고 이성적으로 생각하는가?
- 이 프로젝트에 진심인가?
- 말주변이 있는지 (어디 가서 프로젝트 소개도 하고, 발표를 하게 될 수도 있으니)
- 팀장 일을 하느라 코딩을 덜 하게 되어도 괜찮을까
- 도르가 생각하는 팀장의 역할 : 발표는 자신있다. 팀장이 책임감을 가지는 건 맞지만, 그렇다고 팀원들이 일을 적게 하는 것은 아니다. 평등하고 편한 분위기를 추구한다.
- 푸글이 생각하는 팀장의 역할 : 백앤드가 하고싶은 역할을 주고, 그 외의 것을 가져가면서 조율
팀원 취임식
- 스크럼 마스터 - 코비
- 문서 마스터 - 프: Jenn / 백: Rosa
- 테크 리더 - 프 : Nancy / 백: Roy
스크럼 시간 (온/오프라인)
- 전체 스크럼
- 스크럼 시간 : 13:00
- 매일 백엔드 회고
Deep
프로젝트 이름 공모 (한글/영어)
MODI
모두의 아이디 - Nancy, Corby, Jenn, Poogle
I/D 또는 1/D
(아이디를 나눈다는 의미) - Roy, Rosa, Dorr
프로젝트 정의
더 깊게
- Payments API
- 포인트 방식으로 우선 진행
- 첫번째 스프린트 이후 회고 시간에 논의
- 아임포트
- 보안
- 비밀번호를 어떻게 공유해야하나
- 테크리더가 우선 알아보는 걸로
- 로그인
- 소셜로그인은 있는게 좋다.
- 소셜로그인과 계정생성과 둘다 해야할까?
- 멘토님께 질문(사용자가 본인의 여러 소셜로그인으로 접속하려할떄)
- 본인인증관련 서비스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 넷플릭스는 19세 이상 가입
- 인증의 경우
- 휴대폰인증 및 본인 인증
- 미성년자는 의사결정이 안된다는 법...
- DB 디자인
- ERD
- 프론트앤드분들과 공유 타임 정해야함
- API 문서화
- 프론트 분들이 담당
- 버그 포인트
- 본인인증하는 부분
- 게시글 정렬
- 시작하는 날짜 별로
- 차있는 사람이 많은 순으로
- 중간에 참여(진행중)이 가능한가?
- 선결제가 이뤄지지 때문에
- UI/UX, 디자인(색상)
- 저번 시간 : 신뢰를 주는 파란색과 난색의 주황 or 노랑을 겹치는 건 어떠한가?
- 메인 색상 : 따뜻한 녹색
- 페르소나 작성( profile, situation, pain point , goal 등)
- User needs & solution
- 이번 기간 후에도 작업한다면? 상상코딩...
- 가격
- 넷플릭스나 왓챠등의 월간 금액 X 개월 수 를 파티원수으로 나눈 값
- 모집이 안된다면?(인원 미달)
- 파티를 만들 때 지정한 인원이 차야 파티를 시작할지,
- 지정한 인원이 다 차지 않아도 파티가 시작하는지 선택
- 해당 파티원에게 인원수가 부족하더라도 진행할 것인가를 물어본다
- 모두 동의는 X (기다릴 수 는 없으니까)
- 동의한 사람만 파티 기간을 연장하는건 어떤가
- 보증금
- 달달이 포인트가 들어오는 방식이라면 보증금을 안 받아도 괜찮을 것 같음
- 잠깐의 정리
- 팀을 만들때는 2가지 방식
- 반드시 팀원이 다 모여야 하는 경우
- 팀원이 다 모이지 않아도 되는 경우 → 약관을 통해서 진행
- 달달이 파티장에게 돈을 줄 것인지 한번에 줄 것인지 → 달달이 주는 걸로
- 서비스를 이해해보자
- 우리의 서비스의 MBTI는? 외향적일까 내향적일까?
- ISFJ
Setting
Github Repository
- Repository는 https://github.com/prgrms-web-devcourse에 public으로
- Repository name은
Team_팀명_프로젝트명
으로 통일 - 예시: Team_Spenlia_softandsoft
Task 관리
- JIRA → 로이의 안내 필요
- 같이 쓰는지?
- Q. 스크럼 따로 노션에? → JIRA
Commit, Branch Convention
API 문서화
Tech Spec을 만드는건 어떨까? (백/프론트 모두 공유할 수 있는...)
- 백엔드 마르코 멘토님의 추천: 뱅크샐러드 테크 스펙
- 과거 푸글이 팀플젝을 할 때 프론트 빌드과정을 설명한 페이지, 백엔드가 OAuth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해 Wiki로 정리해서 공유한 경험이 있었는데 의미있었습니다!
강요는 아님니다.돌아가면서 (플젝 소개, 기술 공유, 버그 해결과정, 중간 회고, 최종 회고... 등등 다양한 주제로 가볍게!) 한 번씩 정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자체 중간 데모데이
회고
- 스프린트 기간 4개
- 11/26 금 ~ 12/2 목 → 리뷰, 회고
- 12/3 금 ~ 12/9 목 → 리뷰, 회고
- 12/10 금 ~ 12/16 목 → 리뷰, 회고
- 매일 스크럼
- 매일 한 줄 남기기(새벽감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