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주차
7/7 13시 00분 ~ 13시 40분 진행
면담 주제
팀 프로젝트 후기, 팀 질의응답 진행
활동 내용
무송 > 개발 브랜치에서 pr 넣을때 최신 브랜치에서 rebase 한후 충돌 해결한 후에 넘기기
f - 현재 작업하던 브랜치에서 해결하려고 함
만약 여러가지 복잡한 상황이라면 새로운 브랜치 생성후 해결
무송 > remote를 local로 땡겨오는걸 시간을 정하는 규칙이 있음
f - 프로젝트에 사람이 엄청엄청 많으면 필요할 것 같음
무송 > pr 템플릿 자유로운가? 아니면 필수적인 요소가 있을지
f - pr의 목적에 따라 다름 (이 pr에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을 명시)
or 리뷰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 ex) 테스트 방법, 사용방법?
jira 사용시 템플릿이 필요할 거 같음
송 > 테스트 코드 작성시 서비스테스트에서 서비스단에서 repository 까지 테스트
jpa는 알잘딱 해줄테니까 jpa를 굳이 테스트를 할 필요가 있을까 싶었음
(로직테스트, 인프라 테스트)
f - 테스트하려는 의도가 무엇인가 중요
@MockitoExtend 로 다 모킹하면 서비스에 대한 테스트는 가능함song-> 테스트목적 2개여도 괜찮을까
f - 두개를 나눠야 할 상황이 필요하다면 나누지만 어느정도 합리적인 편의성 고려
송 > QA는 뭐함?
f - 스토리보드라는 걸 만들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나리오 그대로 동작해야되는데
스토리 하나하나 다 검증함
팀by팀
형근 > dto로 보내며 사진도 보내줌
스웨거 사용하다가 RequestBody ,RequestPart 쓰다보니 안뜸
수기로 작성해야되는가?f - 스웨거 멀티파트시 문제있는지 몰랐음
수기로 작성하는건 안댐, 스웨거에 숨겨져있는 Annotation이나 다른 무언가가 있을 듯song -> 스웨거를 다 버리고 postman 씀
(눈 비비다가 질문을 못들었음)
f - 포맷이 자주 변경되는 경우는 리스크가 있음
보통은 api가이드를 문서를 만듬(물론 코드가 바뀌어도 문서가 바로바로 바뀌진않음)
강 > 이벤트처리 할때 수신하는 곳에서 Async으로 처리했음
트랜잭션이 끝나고 Async으로 넘어가게 되는건지 아니면
트랜잭션안에서? (나는 찰떡처럼 알아듣지 못했다)
f-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일 필요가 없다고 봄
이벤트 발행과 일처리하는것과 트랜잭션이 관련없음
검색이란 액션에 실시간으로 반영되진 않음오늘의 한마디
f - 반복되는 문제를 개선할 의지를 가져라(조직 by 조직)
개선해야되는걸 어필하는것도 님이 역량
f - 이벤트를 이용해 개발하면 좋은점도 있지만 잘 사용해야함
17주차
7/14 13시 30분 ~ 14시 00분 진행
면담 주제
프로젝트 후기 공유, 팀 질의응답 진행
활동 내용
송 - 오브젝트 Movie 와 Discountpolicy 문제 (오브젝트 303쪽)
f - 하나의 프로젝트가 아님
같은 서버 다른 프로젝트
라이브러리는 패키지 단위로 배포가 되어짐
만약 DiscountPolicy 다시 올라가면 의존하는 Movie도 다시 컴파일해야 됨
애플리케이션 계층 - 서비스를 놓음 (레포지토리 인터페이스 사용)
인프라스트럭처 계층
도메인 계층 (레포지토리 인터페이스 가짐)
별명 짓기
에프의 한마디
CS
race condition
비선점 선점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프로그램 실행되는 과정을 이야기 해주세요
18주차
7/21 18시 ~ 19시 진행
면담 주제
프로젝트 진행 상황 파악, 팀 질의응답 진행
활동 내용
f - 어떤 장소에서 이동할때 정보를 제공할때
정보를 어떻게 구해다 줄것인가?! 구글은 정확성이 떨어짐
카카오나 네이버에서 찾아서 잘 버부리면 좋을듯코스정보 몽고DB 써보는게 어떨까요?
f - 이륙 허가 맘대로 하세요워크플로우 방식, 위험 요소 어떻게 대체 해야할 것인가
f - 첫 시작은 같은 곳이여도 가면서 틀어짐
서로 바뀔수도 있다라는걸 인지해야함지도에 존재하지않는 장소 어떻게 표시할것인가
f - 개인적으로 일회성인 장소로 등록하고 그것을 경로에 등록멀티 모듈
f - 삽질 on 하지만 없어도 될듯 필수는 아님송 개인 - maven , gradle 읽히는 방법 모름 따로 공부해야할까?
f - maven도 알아야되고 장기적으로 gradle이 쓸 가능성이 높다 (배포 툴의 시대가 있음 - 현재는 gradle 시대)여러분도 어느정도의 프론트에 대한 지식은 가지고 있어야함,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