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는 과 우리의 규칙 을 지켜요
2. 우리는 매일 회의를 진행하고 회의록 & 스크럼 에 기록해요
- 개별 팀 스크럼을 공통 스크럼 이전에 미리 진행합니다.
- 스크럼은 모두가 함께 참여하여 헬스체크를 합니다.
- 스크럼을 진행한 후에 회의를 진행합니다.
3. TASK가 정해지면 🐢 JIRA 티켓을 만들어요.
- 회의를 통해서 TASK를 추출하고 백로그에 추가합니다.
- TASK는 각자의 역할에 맞게 분담합니다.
4. 스프린트를 4일 주기로 하고 스프린트 규칙 을 지켜요
- 지라가 익숙해질 때 까지 짧은 주기로 가져가고, 익숙해지면 주기를 늘립니다.
- 스프린트 회의는 주기 동안 진행해야 할 업무를 백로그를 바탕으로 분배합니다.
- 지난 4일 동안의 TODO 현황을 파악하고 업무를 재조정합니다.
5. 팀원들은 Task에 지라 워크플로우 에 맞게 JIRA의 티켓을 관리해요
- 업무 요청을 할때는 티켓을 만들고 댓글로 요청 대상을 멘션 해서 전달합니다.
- 응답이 없다면 슬랙이나 직접 이야기 합니다.
- 응답 받은 사람은 해당 댓글에 반드시 이모지 혹은 답글을 달아주세요.
- 특정 ISSUE 발생 시, 관련 대상 분들을 모두 멘션해서 전달해주세요.
6.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로드맵 에 따라 진행해요
- 우리의 계획이 어떻게 진행 될 것인지 로드맵에 그려봅니다.
7. 개발은 코딩 컨벤션을 지키면서 해요
- 프론트의 코딩 컨벤션 입니다.
- 백엔드의 코딩 컨벤션 입니다.
8. GITHUB 에서 형상관리를 해요
- 프론트의 레포 :
- 백엔드의 레포 :
9. Commit은 각자 깃 컨벤션을 지켜요
- 프론트의 깃 컨벤션 Git 컨벤션
- 백엔드의 깃 컨벤션 Git 컨벤션
10. API 설계 후 페이지와 바로 연결을 해요
- 마지막에 이를 테스트 하면 무조건 이슈가 생깁니다.
- 미리미리 연결 테스트를 하면서 큰 이슈를 막습니다.
11. 배포는 각자 주기에 맞춰 진행합니다.
- 프론트는 스프린트 마다 배포합니다.
- 백엔드는 매일매일 배포합니다.
12. 스프린트 진행 후 회고를 하고 회고록 에 기록해요
- 스프린트 단위 4일 차 저녁 스크럼 때 회고를 합니다.
- 스프린트 주기 동안 개선되어져야 할 것들을 정리합니다.
- 자기 자신과 상대방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로 피드백을 합니다.
🗣 API 개발 협업 프로세스
지라 댓글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주세요:
담당자 멘션 과 함께 요청 사항을 작성해주세요.
피그마 링크를 함께 첨부하면 어떤 화면에서 사용되는 API 인지 쉽게 파악하기 좋습니다.
- 백엔드 : 개발 화면(유저 스토리) API 명세서 요청 (경우에 따라 프론트에서 먼저 개발을 요청할 수 있음)
회원 가입 화면 API 스펙(Request, Response, 기타 특이사항) 요청 드립니다.
- 프론트 : 해당 화면(유저 스토리)의 필요한 항목들 전달
- 각 항목이 어디에 쓰이는지 간단하게라도 설명이 있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 (간단하게 코멘트로만 작성해주셔도 되고, 디자인 된것이 있다면 글을 대신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회원가입 API 스펙 전달 드립니다.
- Request : 아이디, 비밀번호, 닉네임
- Response : 아이디
“isLeader”: Boolean // 팀장 유무 와 같이 어떤 형식으로든 상관없습니다!
- 백엔드 : 항목 확인 후에 ERD에 맞춰서 Response 스팩 작성 및 공유 (이때 의문사항이 있다면 바로 문의해주세요.)
- Request
- Response
- 프론트 & 백엔드 논의 후 확정
→API 설계 페이지 업데이트 해주세요.
- 백엔드 : 개발 완료 후 API 연동 요청 (Swagger 링크 : https://dongkyurami.link/swagger-ui/index.html)
- 프론트 : API 연동 후 공유
- 백엔드 : 확인 및 피드백 혹은 확인 완료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