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협업 툴을 따로 쓸 생각인지? → 목적: 문서화를 꼼꼼하게 하고 싶어요
JIRA → 러닝 커브가 조끔 높아요! 권한때문에 포폴에서 보여주기가 어려븜
- Notion → 너무 자유분방함!
- Notion Template: 사용하기 좋은데 권한이 열려 있을까? → 열려 있다!

- Github Project
- Issue, PR, 등등에 세부적으로 관리를 해줘야합니다
- 템플릿을 따로 정할 수 있나?
2. 명세서를 주고 받는 폼
- swagger
- 백엔드는 이걸 더 선호해요!
Rest-Docs- 으으윽ㅠ 이건좀…
postman → ?
🩷김백안이홍문모박❤️
성은 따로지만 마음은 하나
3. 예외에 대한 메세지는 어떤 형식으로 주고 받을건가요?
- 에러코드를 사용하는 방법
- E403001 : 403 에러 + 몇번째 할당 된 에러인지
- INVALID_USER : 서버에서 정한 에러 이름
→ 고견을 남겨주십셔!
- 문제 되는 value 를 보내줄지? 에러코드만 보내줄지?
4. 타임라인 MVP 일정을 어떻게 가져갈지
5. 코어 타임 룰 어떻게 할지
6. 프로젝트 결과물을 실제 서비스 할까요?
- 범: 그러면 좋을 것 같아요. 사용자 유치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기획 아이디어가 있는지 보고 결정해도 좋구요. 실제 서비스해서 디콰이엇에 올려도 좋고.. 디스콰이엇인가? 아니면 인프런이나 그런 개발자 커뮤니티에 홍보할 수 있는 정도여도 좋으니..
- 백엔드의 경우 배포 비용이 많이 나오실 것 같은데 만약 실제 서비스하면 비용 문제는 혹시 어떻게 되시는지… 아니면 한달 정도의 기간을 두고 서비스화 하실건지 궁금해요 ⇒ 삭제 되어서 다시 답변 답니당
다음 회의
- 프로젝트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