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 스택
- React
- CRA / Vite
- React Router
- 기존(V5 → V6) vs 최신(V6)
- Typescript
- Axios
- CSS 라이브러리
- styled-component
- 상태 관리
- Context / Redux / Recoil
- 전역 상태로 관리할 값은? → 로그인 / 유저 정보 ?
- React Query
- 디렉터리 구조

- 역할 분담
- 공통 컴포넌트 구현을 우선으로
-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는 어떤게 있을까?
- 페이지 분담
- API 순서에 따라 구현하는 방식 ?
- 전체 가이드가 잡힌 API 명세서를 받고 작업하며 수정하는 방식
- 반응형 웹을 구현하는 게 많은 도움이 되는가?
- 관리자 계정과 페이지 중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 로그인 구현 시 소셜 외에 자체 로그인도 구현할 필요가 있는가?
- 생각할 점
- 알람 → 현재 구현 X 우선 헤더 추가
- 우선 순위를 뒤로… 미룬다.
- 정보공유 → 극장 선택 시 주변 편의 시설 정보가 안내됨
- 정보공유 탭을 따로 생성할 필요가 있을까?
- 한번에 관리하는 게 더 유용할 수 있다.
- 우선 순위를 뒤로… 미룬다.
- 이미지 받아오기
- 이미지를 받아올 때 로딩 화면/스피너 구현이 필요하다.
답변
- 기술 스택에 관하여 도전해보고 싶은 한두개의 기술 채택은 좋지만 모든 걸 전부 좋게 & 새로운 걸로 하는 건 기간이 정해져 있는 프로젝트에선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 기존에 배운 내용들과 팀 내 합의하여 새롭게 도입할 기술 한두개를 정해보자.
- 디렉토리 구조에 관하여 정답은 없지만 좋은 라이브러리는 어떻게 디렉토리 구조를 가져가고 어떤 분류 방식이 읽기 편했는지 팀끼리 장단점을 찾아보고 얘기해보면 좋을 것 같음.
- 반응형에 관하여
우리가 만들 서비스가 웹으로 만드는 게 적합한지, 앱으로 만드는 게 적합한지 우선 결정하면 좋아요. 그래서 선택한 플랫폼에 맞춰 만드는 거죠. 그 중 제가 말한 모바일/태블릿/웹 기준으로 나눠서 반응형을 챙기는 건 웹을 메인으로 만들 때 하면 좋은 방법이에요. 만약 앱을 메인으로 한다면 앱 화면을 기준으로 구현하고 추후 웹 사이즈 일 때 여백 등을 줘서 챙기는 방법이 있는 거죠.
우리 서비스가 어떤 플랫폼에 집중해서 만들어지고 싶은지 생각해보고 이에 따라 반응형을 얼마나 챙기면 좋을지 생각해봐요!
베스트는 다 챙기는 거지만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면 어떤 플랫폼을 더 보기 좋게 만들건지 생각해보면 좋다는 거였어용
- 양자택일이 필요한 질문은 각 선택지에 대한 장, 단점을 나열하고 팀원들끼리 의견을 주고 받으며 어떤 장점을 가져가야 하는지, 어떤 단점이 크리티컬한지 얘기하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