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13
From 인수 To 창민
자기소개
,지원동기
,!** 역량 **!
,프로젝트 경험(성공과 실패)
,문제해결 능력
,장단점
,꾸준한 성장을 위한 노력
,진실성
,협업능력
,성장가능성
읽으면서 드는 궁금점
대학 졸업 후, 1년 반 정도 공백 어떤 걸 하고 지냈을까?
- 본격적으로 프론트엔드 공부를 한 지 얼마나 된 걸까?
성장가능성
,성장을 위한 노력
부트캠프 2회했는데, 부트캠프 이외 시간 혹은 부트캠프 외에 활동 무엇이 있을까
- 기본적으로 월 100명 이상의 부트캠퍼들이 배출되는데, 이 사람만의 매력? 활동? 등을 알 수 있는게 이력서에서 느껴지지 않는다.
- 보통은 자기소개 / 블로그 / 외부활동 등에서 나타나는 듯 하다.
스팸
팀원 프론트 4명(팀장) + 백 5명
9명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소통 / 협업의 어려움 무엇이고, 해결에 관여한 바가 있을까?
협업능력
- 사례를 위주로
UI 디자인, 드롭다운 컴포넌트 구현
UI 일관성, 간격, 폰트사이즈,… 단순 컨벤션 중에 하나 정도라고 생각되는데,
스팸 프로젝트의 첫 번째 ‘소주제’ 로 등장한 이유가 있나?
- 무엇을 했다는 건지, “범위”가 잘 모르겠다?
- 디자인을 했다는 건지? 공통 컴포넌트를 만들었다는 건지? 컨벤션 수준에서 말을 하는 건지?
outwater
공통 컴포넌트 제작 도 아니고, UI 디자인이라고 했을 때, 어필하고 싶은게 단순 fact 이외에 어떤게 있는 지 궁금
outwater
어필하고 싶은 기능들을 먼저 위에 두는 게 좋지 않을까? (우선순위)
단순 구현 사실의 fact 이외에 어필할만한 요소가 있는지 궁금
- 질문을 할 만한 여지가 없는 것 같다.
- 읽고 음 이거 했구나~
- 확장성을 고려하도록 설계했다던가
- 실력에 따라서 다르니까, 그런 부분에 대해서 물어볼 수 있을 것 같다.
확장성을 고려한 드롭다운 공통 컴포넌트
- 추가 질문으로 물어볼 수도 있을 것 같다.
- 공통 컴포넌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려했는지
- prop으로 열어둔 것 어떤 것들이 있고,
- 프로젝트 내에서 여러 사람들이 실제 사용하고, 필요한 점을 반영한 부분이 있는지
대결 공고 작성, 팀 생성 폼 구현
outwater
문장 자체가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렵다고 느낌- 대결 공고 작성 폼 구현 + 팀 생성 폼 구현인지
이거임
- 대결 공고 작성 구현 & 팀 생성 폼 구현 인지
- 대결 공고 작성과 팀생성을 위한 폼 구현 을 말하는 건지
- 배포된 서비스를 확인하기 전에 이력서를 본다고 했을 때, 좀 더 명확한 키워드가 있으면 좋을 듯
관리해야하는 데이터가 많아 불필요한 렌더링이 발생problem & solution
불필요한 렌더링이 발생한 상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이를 비제어 컴포넌트로 해결하려고 한 이유는 무엇인지
제어컴포넌트와의 tradeoff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포기한 가치는 무엇이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기록 및 문서화
outwater
기록과 문서화를 의도적으로 구분하여 명시하신건가요?기록
: 말 그대로 회의 등의 사실을 기록
문서화
: 작성된 코드 혹은 주제에 대해서 2차 가공을 통해 새롭게 문서화 한 것
- 맞나요 ??
맞다.
outwater
저번에 듣기로, 스팸같은 경우 팀장으로서, 문서화 및 소통에 포인트를 두었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첫 번째 소주제로 올려서 더 눈에 들어오게 해도 좋을 것 같다.outwater
’소통비용’ 줄이고자 한다는 키워드는 매력적이라고 느껴짐- 무지성으로 읽으면서 질문하기 좋은 주제(인성&협업)이니까, 키워드가 매력적이면 물어볼 확률이 높을 것 같다.
- 좀 더 매력적으로 뭔가 워딩이나 이런 것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생각
구체적인 사례들에 대해서 질문할 것 같다.
본인이 주도적으로 기록했나요?
성향
, 협업필수
before & after 실제 효과가 있었나요?
체퀴즈
React + TS + SC , ContextAPI
포트폴리오의 두가지 모두 공통 스택을 사용하였는데,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React-query, Next.js 이미 대중적으로 들어선 다른 라이브러리 나 트렌디한 스택 혹은 라이브러리 도입 검토는 해보았는지
(더 나아가면)
그런 기술 스택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어떻게 접하고 있는지Context API 사용 이유와 장단점
인증
토큰 + 로컬스토리지 방식 사용의 이유
보안상 문제 없는지 + 강화하기 위해서 어떤 것들이 가능한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인가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
로그인/비로그인 정도라면, 추가 확장 시 어떻게 구현해볼 수 있을까요? (
조금 마이너 한 것 같네요..
)좋아요, 댓글 알림
outwater
알림 확인 창은 모달로 구현 > “알림 확인을 위한 모달 구현” 은 어떠신지?
outwater
그걸 떠나서, 이 기능을 굳이 써야하나 잘 모르겠다.- server에서 알림 받아 렌더링 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오히려 물어봤을 때 허무? 무의미하다고 판단 할 것 같다.
pre-commit 훅
pre-commit 과정에서 검사하는 흐름에 대해서 설명해본다면?
(제대로 알고 있는지)
- 어떤 것들을 검사했는지
활동
outwater
소개가 있으나 마나? ㅎㅎㅎ 추가 자료 보완 필요할 듯- 코어타임을 통한 능동적 학습이나, 백엔드 협업 프로젝트 등에 관한 내용 첨가 어떠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