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it-rebase
질문
git branch pull 할때 경고 문자? 나와서.
커밋중복 로그 ←
중복 commit 생기는 이유
- 내 브랜치에 merge를 하고 dev에 rebase를 해서 중복 커밋이 생겼다.
- → 그냥 rebase만 했으면 괜찮았을 것..?
- 내 브랜치에서 git pull rebase가 아니라, 내 브랜치에서 main을 git rebase 하고 main에서 내 브랜치를 merge
git rebase main
git checkout main
git merge 내브랜치
2. UI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를 쓰면 MUI나 chakra를 쓸 거 같은데 안쓴다면 지금 쓰는 CSS(Styled-components 등) 를 쓸 거 같은데, 지금 상황이나 현재 수준에서 UI 라이브러리를 쓰는 것이 괜찮을지 고민입니다.
→ 기능은 그대로 쓰고 스타일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headless(기능만있고 스타일없는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 radix ui
→ 따로 시간을 내서 구현을 해보는 것을 추천, 프로젝트를 할 때는 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하니 UI 라이브러리를 쓰는 것도 추천
실무의 경우 → UI 라이브러리를 쓰게 되는 것 같다. 그것들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개인적으로 공부했던 것 같다.
3. import * vs import {…}

필요없는 참조는 제거하는게 좋다고 들어서import * as from foo
는 지양하는게 좋다고 들었습니다.그런데, 합성컴포넌트는 내부 객체를 다 내보내어 사용합니다. 어떤 차이인지 궁금합니다!
번들러 트리쉐이킹(번들링 과정에서 불필요한 코드(사용되지 않는 모듈)를 식별하고 제거하는 기법) 이 안되는 경우 , 정확하게 필요한 것들만 import 해서 * 를 지양했었다.
전부 필요하다면 *를 쓰는 것도 맞다. ( 정답은 없다 )
4. 프로젝트 주제 및 기술
FCM 고려사항 : 디바이스 별로 알림을 쏴줘서 유저의 경험이 다를 수 있다.
ex) 똑같은 유저가 컴퓨터로 로그인하면 알림을 받는데 모바일로 접속하면 못 받을 수 있다. → 알아봐야함 (하나의 유저가 여러토큰을 가질수있게 스키마 설정필요?)
커피챗 아이디어
- 종욱님) 정답은 없지만 생각해보면 좋을 주제로 얘기 나누기(ex. 추상화란 무엇일까.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위한 액션 아이템, 주석을 달아야 하는가?)
- 종욱님) 코드 과제 아이디어 나누기
- 예진님) 질문 하면 얘기를 많이 한다. 현업/취준/마인드셋 등등. 인성멘토님이 공부 많이 하시는데 어떻게 했는지(노하우 등) 공유.
- 예진님) 멘토님 회사에서 같이 코어타임.
- 인성님 회사가.. 무신사
- 종욱님) 윤호멘토님도 재택을 많이 해서 같이 코어타임했다.
- 준원님) 리마인더 올려서 질문이나 얘기 주제 받아서 그걸로 커피챗 진행함. 프로젝트 하던 중에는 프로젝트 위주로. 기술 스택 피드백 등. 서비스 아이디어 정했을 때 어떤 점이 추가되면 좋은지, 이름은 뭐가 좋은지 등.
- 영현님) 질문 위주로 진행. 다른건 많이 안했다. 굉장히 좋았다.
- 좋은 아이디어 생기면 얘기해봅시다 ㅎㅎ
얻고 싶은/이루고 싶은 것
- 이력서 첨삭 👍
- 생각나면 얘기주셔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