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릴리즈했을때 피드백과, 데모의 피드백에 괴리가 있을때 해결할만한 특별한 장치가 있을까?
A: AB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다. (예를들어 10:90 전략 10%는 새로운 기능 90%는 기존 기능을 써서 새로운 기능에 고객이 더 높은 관심을 보인다면 새로운 기능을 포함하여 배포)
- Q: 경쟁사보다 더 빨리 출시해야함은 좋은 코드, 좋은 아키텍쳐보다 더 중요한가
A: 그렇다. 선점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고 한다. 레거시 코드로 구현해도 일단 출시하고 본다.
- Q: PO(프로덕트 오너), PM(프로덕트 매니저)의 의미..? (죄송합니다. 질문이 정확히 기억이 안납니다.)
A: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 전략을 관리하고(Product Strategy), 우선순위를 결정하고(Prioritization), 계획을 실행(Excecution)하는 포지션이다.
프로덕트 오너는 말 그대로 하면 ‘제품의 주인’으로서, 담당 제품에 대한 오너십을 가지고 지속적인 제품의 성장을 이끄는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다. ‘mini-CEO’라고 부르기도 한다.
- Q: 프로같은 주니어는 어떤 사람을 말할까?
A: 본인의 실수에 책임을 지려고 하고 밤새면서 고치려고 함. 설령 성과가 없더라도 좋은 인상으로 남았다고 함. 프로 같지 않은 주니어는 해보지도 않고 포기하는 사람
- Q: 조만간 프로젝트 진행하는데 소카에서 진행하는 방식은 적용이 어렵다. 다른 방법 없을까?
A: 꼭 플래닝을 한번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번 스프린트에서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정하고 목표를 설정해라. 그 목표가 며칠짜리 일인지 계산해보는 것도 좋다. 목표 하나를 두고 각자 며칠이 걸릴지 말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다.
데모를 한번 해보는 것도 좋다. 동작되는 App을 만드는 것을 한번 해보십쇼.
- Q: 누군가는 리더 역할을 하게 될 텐데 그 리더한테 해주고 싶은 조언은?
A: 스크럼할 때 제한된 시간안에 한 일, 할 일을 어떻게 공유할지 고민해보시라. 스크럼이 만담회가 되지 않도록 해주시라.
- Q: 같은 팀원이 잘 못따라올 경우 어떤식으로 리드해주어야 할까
A: 페어 프로그래밍을 한번 해보시라. 같이 시간이 된다면 둘이서 같이 코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 사람은 키보드 잡고 한 사람은 옆에서 조언만 하는 방식이다. 자연스럽게 지식 공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