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분 - 3시 21분
35 - 14:10 분 : 14:20분
주제1
- 스택과 큐
- 차이점을 중심으로 개념
- 스택: 나중에들어온 것 먼저 큐: 선입선출
- 사례
- 스택은 프링글스, 함수의 호출 방식 굳
(
두괄식이면 좋지 않을 까, ..굳이 컴퓨터전공은 아니지만 잘모르지만
) - 큐는 산업공학의 대기행렬, 이벤트루프에서 태스크 큐
- 스택과 큐의 시간복잡도
(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생각해서 말해주신 점
)- 조금장황하지만, 딱 던지는 식이면 굳 (전략적선택가능)- 동기와 비동기
- 차이 : 커피를 통한 사례
- 콜백
- 정의 :js함수는 값으로 취급 → /?
- 콜백 헬의 해결과정
- 콜백함수가 계속 중첩되었을 때 depth가 길어진다면 왜 문제?
- 코드가독성
- 실행컨텍스트
- 실행컨텍스트란 무엇인가?
- 계속해서 생성되는 하나의 층 (나만의 언어라고 생각-부가설명필요)
- 스코프라는 추상적인 범위를 물리적으로 실체화한 자료구조 (정확성?)
- 어떤 정보들이 담기게 되나?
- js모든 자료 평가, 환경 레코드, var let const, 호이스팅 , TDZ (
포인트를 잃은느낌
) ←😁동의합니다 - this
- 현재 스코프? 현재 실행컨텍스트, nodejs undefined
- 함수에서 this는? → 전역 객체
- 로컬스토리지와 세션스토리지의 차이
- 브라우저를 닫으면 사라지냐, 영구적이냐
- js에서의 변수선언 과정
- 변수선언과 할당과정이 나누어져 있다. (다른 언어는 하지 않아서 모르겠다 로 시작 → 두괄식 대답 필요)
- 2번의 할당 (undefined → 값 할당)
- let a console.log(a)(?)
- TDZ란?
- 굳
전체적인 피드백
직관성 - 무슨 말을 하려는지 빠르게 이해(good), 말하려는 바를 꼬리질문을 통해 이해 (bad)
구체성 - 묻는 개념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good), 묻는 개념의 일부만을 이야기함 (bad)
정확성 - 올바른 개념에 대해 이야기 (good), 잘못된 정보, 여러 개념을 혼합하여 이야기함 (bad)
태도 및 자세 - 말하는 속도, 강약조절, 자신감, 몸짓의 변화가 적절하다 (good)
- 많이 아시는데, 정리가 안되어 있는느낌! (실행컨텍스트)
- 정확한 개념의 사용 필요 (this가 가르키는 것이 실행컨텍스트?)
- 말의 템포가 굉장히 침착하다고 생각(← 동의합니다👍🏻)
- 여러 개념을 사용하셔서 꼬리 질문의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 저(수경)의 피드백 처럼 두괄식으로 말하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경) 이번에는 개념 위주로 질문을 했는데 다음에는 매운맛으로 돌아오겠습니닷..
상윤의 자가 피드백
여러분의 피드백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입니다... 저의 밑천이 드러나면 드러나는... 생각해보니 작년 데브코스 1기 때 면접에서 떨어졌는데, 오늘 면접과 비슷한 분위기 였던 것 같습니다.... 주마등 처럼 스쳐지나가네요..
- 콜백함수와 같이 잘 모르는 내용에서 어떻게든 말을 하려하다보니 콜벡’헬’ 💀
- 실행컨텍스트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뭔가 잘못됐다는 것을 직감)
- 말 끝맺음을 잘 못함 → 장황한 설명, 얕은 밑천...
- 굳이 비전공자, 다른 언어를 얘기할 이유는 없다, 밑밥깔기x, 보험x → 오히려 역효과
- 알고 있는 것이 두루뭉실하여 완전히 내 것이 아닌 느낌
- 첫 문장이 장황하다. tmi 줄이기, 조금 더 간결하고 담백하게.
- 확실하지 않은 내용에 대해서 말을 하는 경향... → 정말 고쳐야 할 부분, 더 공부가 필요
- 모의 면접에서는 잔머리 굴리지 말고 부딪히고 깨지는 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