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의 성장을 위한 피드백입니다.
보완할 점이 있다면 자세하게 작성해주세요 ~.~
특이사항
피드백
명재
면접관 피드백
- 수화
- 자바스크립트는 무슨 언어? → 인터프리트, 동적타입, 함수형, 객체지향 방법론 →
- 일급객체
- 특징) 값을 표현할 수 있는 표현식 ⇒ 조금 더 특징을 간결하게 정리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ex) 3가지 특징을 만족해야 일급객체인데요, 첫번째론 ~~
- parameter, argument 차이
- 객체
- 정적으로 객체를 만들지 않는다라고 한 부분은 빼는 게 좋을 듯→ (알고있듯이) 생성자함수, 클래스로 만들 수 있으니까
- 값의 정의 : 변수 메모리에 직접 들어가는 부분 ? (나도 정리해야겠다)
- 생성자 함수의 인스턴스 생성과정 → 잘 말해준 듯!!
- this → this가 왜 생긴지는 몰랐는데 굿! 근데 좀 길어서, 왜 생긴지는 짧게 언급하고 꼬리질문 들어오면 자세히 풀어도 좋을 거 같아
- 정적으로 정할 수 없다?? arrow function을 사용하면 렉시컬로 정해지지 않나??
- 이제 라는 말을 중간에 자주 한다! → 중간에 계속 쓰다보니까 정확히 정리가 안됐다는 느낌이 들어서 줄이는 게 좋을 듯
- 이벤트 버블링, 캡처링 → ???? 준비해주세요
- 천욱
- 함수형, 객체지향 방법론 → 일급객체랑 일급함수랑 같은건가?
- 값이란? - 변수 메모리라는 말이 맞는걸까??
- 생성자함수보다 클래스가 더 안전하다 → 이유를 잘 말해준것같아요!
- this란? - 좀 더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면 더 좋을것같아요!
- 화살표 함수 - non constructor?
- 엄격모드 - 되게 딥하게 알고있는 느낌을 받음
- 가비지 컬랙터 - (이거 나도 공부해야겠다)
- call apply bind - 목적을 명확히 설명해준게 좋았음!
- 프로토타입이란? - 조금 아쉬움!
- 깊복 얕복 - object.freeze? 맞나용? 정리를 좀 더 해주면 좋을것같아요. 이론적으로는 알고 있는거같음!
- Map(), Set()
천욱
면접관 피드백
- 수화
- 싱글스레드로 동작하는 이유 →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1개의 콜스택을 가지기 때문에
- 싱글스레드임에도 비동기가 가능한 이유? → 브라우저 환경에 의해 가능하다(간략히 말하고) → 추가질문오면, 어떻게 동작하는지 말해도 좋을 거 같습니다!
- 데이터 타입이 필요한 이유 → 메모리에서 (데이터 타입에서) 필요한 부분만 할당해 메모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this 가 무엇인지 설명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this는 자기참조변수!
- 자바스크립트 인터프리터 언어, 스크립트 언어라는 것도 특징으로 공부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 자바스크립트는 런타임에 타입이 결정되는 동적타이핑 언어입니다.
- 실행컨텍스트
- 맨 처음에 전역 객체 생성 → 윈도우 ? (전역 실행컨텍스트랑 전역객체 바인딩을 말한거야?? )
- 실행컨텍스트 내부에 뭐가 있는지까지 공부해야할 듯
- lexical environment
- environment record
- outer environment reference
- variable environment
- 명재
- 생성자 함수의 인스턴스 생성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https://ko.javascript.info/constructor-new#ref-142 블로그 참고해주세요.
- 깊은 복사와 얕은 복사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둘의 차이에 대한 정의는 정확히 알고 있지만 간단한 예시와 같이 설명해주면 면접관이 이해하기 쉬울 듯
- 불변성을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깊은 복사와 얕은 복사의 꼬리 질문으로 나올 수 있으니 준비하자
- this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호출이라는 키워드가 정확하다 → 그리고 다양한 호출 방법에 대한 정리가 잘 되어있음👍
- call, apply, bind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사용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음
- bind 메서드의 정의를 알고 있지만 언제 사용하는지, 왜 bind 메서드가 탄생했는지에 대해서 모르고 있는거 같다.
- 프로토타입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정의에 대해서 알고 있음 (다음 주에 다시 질문할 예정)
수화
면접관 피드백
꼬리질문을 유도하기 (이벤트 버블링 → 개념)
이벤트 버블링 → 짧게 말하면, 잘 모른다는 느낌 받음
- 천욱
-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의 차이 -
- 데이터 타입에서 Symbol이란 - 약간 자신이 없는 대답인 듯 합니다! 보완해주면 좋을거같아요
- 함수 선언, 함수 표현 차이 - 서로의 차이를 잘 알고 있는듯!
- 비동기 처리할 수 있는 이유 - Promise 언급해주면서 마이크로 태스크 큐까지 얘기해준 점 좋았어요!
- 실행 컨텍스트 -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수행할때 기준?? → 크게는 함수로 봐야할듯??
- 렉시컬 환경 - 환경레코드, Outer Environment? 공부했던 내용인지 되게 딥하게 알고 있는 느낌입니당 ⇒ 너무 장황해서 이해하기 어려웠따
- 스코프 - 너무 짧은 대답인 느낌이었어요! 전역 스코프랑 지역 스코프의 특징까지 얘기해주면 더 좋을것같습니다
- 스코프체인 - 깔끔설명
- async await - 깔끔설명
- 버블링, 캡쳐링 - 프로게이..? stopPropagation 이거인듯??
- 클로져 설명, 경험 - 설명 좋고 경험도 상태관리 경험해봤다는거 좋았습니다! 타이머는 나도 잘 이해가 바로 안되네
- 명재
- 자바스크립트는 무슨 언어인가요 → 인터프린터 언어라는 특징을 같이 설명해준 부분은 좋았다.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모든 프로그래밍 방법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같은 다른 특징도 같이 설명해주면 좋겠다.
- 인터프리터 언어과 컴파일 언어의 차이 → 런타임에 한 줄씩 해석한다는 부분 외에 다른 특징은 없는가?(나도 궁금해서 질문임, 뭔가 당연한 부분에 대한 설명만 한거 같은 느낌이 든다. 조금 더 딥하게 학습해봐도 좋은 주제라고 생각이 든다.) ㅇ
- 변수 선언, 초기화, 할당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못들었어… 쏘링
-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선언 방식의 차이점과 호이스팅 관점으로 명확히 설명함.
- 함수가 왜 객체인가요? → 일급객체를 언급하고 일급 객체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해주면 좋을듯
- 자바스크립트가 동적 언어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 런타임에 타입이 결정된다다고 말했는데 추가적인 설명도 같이 있으면 좋을듯
- AJAX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브라우저에서 새로고침을 중점으로 설명했는데 추가적인 설명도 같이 있으면 좋을듯
- 전역 객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딥다이브 21.4 전역 객체(360p)를 읽어보자
- 전역 객체가 가지고 있는 값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딥다이브 21.4 전역 객체(360p)를 읽어보자
- Promise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Promise가 생성되는 시점으로 명확히 설명함
- Promise 생성자 함수가 탄생한 이유 → 콜백 지옥이라는 문제점을 중점(키워드)으로 설명한 점이 면접관(명재)가 원했던 답을 말한거 같아서 좋았음
-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했지만 너무 짧은 대답인 느낌이었어요. (뭔가 이름으로만 유추할 수 있는 답변을 했다. “버블링이니깐 올라간다.”처럼 쉽게 유추할 수 있는 부분으로만 설명한듯)